카이스트, 무선충전 가능한 뇌이식 장치 개발
개발된 뇌 이식용 무선 디바이스 (좌) 무선 디바이스의 사진 LED 탐침이 쥐의 뇌에 삽입된 상태에서, 쥐의 두피 안에 완전히 이식된 디바이스의 개념도 (중) 및 X-ray 사진 (우) [사진 = 카이스트] 무선 충전이 가능한 뇌 이식 장치가 개발됐다 생체 내에서 배터리 교체 없이 스마트폰으로 뇌의 신경회로를 조절할 수 있다 중독 같은 정신질환이나 파킨스병 등 뇌질환 치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 의대 김정훈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뇌 완전 이식형 무선 광유전학 기기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목표로 하는 특정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 광유전학은 외부기기와 연결된 광섬유를 통해 신경세포에 빛을 전달한다 하지만 유선방식은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한다는 제약이 따르고, 무선 기기는 배터리를 교체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배터리의 무선 충전과 디바이스의 무선 제어를 가능하게 만드는 무선 회로를 개발해 마이크로 LED 기반의 탐침과 결합했다 동물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배터리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광자극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무게(1 4g)의 뇌 완전이식형 기기를 구현했다 생체 이식 후 기기에 의해 주변의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기기를 매우 부드러운 생체적합성 소재로 감싸 생체조직과 같이 부드러운 형태가 되도록 개발했다 이 기기를 LED 탐침이 쥐의 뇌에 삽입된 상태에서 두피 안으로 완전히 이식하고 쥐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배터리가 자동으로 무선 충전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중독성 약물인 코카인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쥐의 특정 뇌 부위에 무선으로 빛을 전달해 코카인으로 인한 행동 민감화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광유전학이 코카인에 의한 중독 행동 제어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궁극적으로 인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기를 더욱 소형화하고 MRI 친화적인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는 확장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카이스트 정재웅 교수는 “개발된 장치는 체내 이식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교체를 위한 추가적인 수술 필요 없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며 “이 기술은 뇌 이식용 기기뿐 아니라 인공 심박동기, 위 자극기 등 다양한 생체 이식용 기기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충연 박사과정, 연세대 의대 구민정 박사과정 연구원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월 22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