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북핵 위협, 힘 받는 주한 미군 사드 배치론 / YTN

높아지는 북핵 위협, 힘 받는 주한 미군 사드 배치론 / YTN

[앵커]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가 급부상하면서 한미 간 사드 배치 논의가 공식적으로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드가 한중 관계를 악화시키고 동북아 군사적 긴장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세호 기자입니다. [기자] 주한 미군의 사드 배치와 관련해 미 언론들은 한미 간 물밑 접촉이 진행되고 있다고 잇따라 보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 월스트리트 저널이 지난 28일 한미간 사드 배치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한 데 대해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미 정부의 협의 요청이 없었다면서도, 사드 배치는 우리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4차 핵실험 이후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담화에서 안보와 국익에 따라 사드 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25일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군사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입니다.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감행하고, 장거리 로켓 발사 시험 움직임까지 보이며 북핵 위협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고강도 대북 제재는 거부하며 북한을 감싸는 듯 한 태도를 보이고, 국제사회의 제재 논의도 지지부진하면서 사드 배치 논의가 공식화될 조짐이 더욱 뚜렷해 지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의 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동맹과 친구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앞서 20일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도 북한이 변하지 않으면 방어 태세 측면에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중국에 전달했습니다. 이 때문에 중국이 실효성 있는 대북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경우 사드의 한반도 배치가 필요하다는 한미 간 공감대가 이미 형성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드 배치가 오히려 한중 관계 악화와 동북아 군사적 긴장만 높아질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지면서, 사드 배치 논의가 중국에 실질적인 압박으로 작용할 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YTN 김세호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01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