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1000곡 #김복만교수 0542] 꿈속의 사랑 (현인) #커버 #가사

[#도전1000곡 #김복만교수 0542] 꿈속의 사랑 (현인) #커버 #가사

《 '현인' - 대한민국 1호 가수 》 현인(본명: 현동주)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부산에서 영국계 외국기업에 근무하던 아버지를 둔 유복한 가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성제2고등보통학교 시절부터 밴드부 활동을 하던 현인은 1938년 일본 우에노음악학교 성악과에 진학하여 음악을 공부했고, 1년 뒤에는 NHK 합창단의 오디션에 응시하여 단원으로 일했다. 그는 1942년에 귀국하여 성보악극단의 음악 교사가 되었으며, 1943년에는 동료들과 악극단을 구성해 텐진, 베이징, 항저우 등지로 공연을 다녔다. 그러나 그는 일본 패망 후 베이징 비밀 형무소에 수감되어 고초를 겪다가 귀국했다. 이후 현인은 미군 위문 공연에 참여해 탱고를 전문으로 하는 고향경음악단을 조직하였고, 1947년에는 최초의 나이트클럽인 뉴스맨스 클럽 무대에서 활동하며 밤무대에서 이름을 알렸다. 그 해 현인은 박시춘이 작곡하고 유호가 작사한 '신라의 달밤'을 발매하여 대히트를 기록하고, '베사메 무쵸'나 '꿈속의 사랑'과 같은 번안곡을 불러 트로트 일변도의 대중음악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 일으켰다. 1952년에는 에디트 피아프와 이브 몽탕의 히트곡 '장미 빛 인생' 등을 불러 한국에 샹송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현인은 이후 '고향 만리', '굳세어라 금순아' 등을 잇달아 히트시켜 1950년대 가장 빛나는 대중 예술가의 한 사람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1974년에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민을 가서 '가스라이트'라는 레스토랑을 운영했지만, 한국의 무대가 그리워서 1981년에 귀국했다. 1991년에는 '노래하는 나그네', '길' 등의 신곡들을 발표했다.  현인은 1981년부터 1998년까지는 KBS 가요무대와 악극 등에 출연하여 왕성한 음악 활동을 했었지만, 지병인 당뇨병의 악화로 결국 2002년에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현인은 해방 후 앨범을 발표하여 데뷔한 가수로는 첫 번째로 '대한민국 제1호 가수'로 불리우고 있다. 오늘날까지 애창되고 있는 현인의 번안곡 '꿈속의 사랑'의 원곡은 '夢中人(몽중인)'이라는 노래로 이 노래의 원곡자는 중국 상해에서 활동하던 여배우이자 가수인 '공추하'이다. 이 곡은 1956년에 현인이 처음 번안해서 불렀고, 그 후 나훈아, 남진, 채은옥, 김정호, 심수봉, 주현미, 이광조, 현철, 조미미, 장윤정, 조명섭 등 여러 가수가 리메이크 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사랑해선 안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 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잊어야만 좋을 사람을 잊지 못한 죄이라서 소리 없이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아~ 사랑 애달픈 내 사랑아 어이 맺은 하룻밤의 꿈 다시 못 볼 꿈이라면 차라리 눈을 감고 뜨지말 것을 사랑해선 안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간주) 아~ 사랑 애달픈 내 사랑아 어이 맺은 하룻밤의 꿈 다시 못 볼 꿈이라면 차라리 눈을 감고 뜨지말 것을 사랑해선 안될 사람을 사랑하는 죄이라서 말 못하는 내 가슴은 이 밤도 울어야 하나 원곡 : 현인, 1956 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사진 : Pixabay Image #노래부르기_도전1000곡 #도전천곡 #동호ㆍ김복만교수 #현인 #꿈속의사랑 #몽중인 #번안곡 #공추하 #주현미 #나훈아 #남진 #채은옥 #김정호 #심수봉 #이광조 #현철 #조명섭 #조미미 #장윤정 #7080추억의노래 #노래방라이브 《 페이스북 링크 》   / bokman.kim.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