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운 받고 운을 쌓은 사람의 차이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성주운 받고 운을 쌓은 사람의 차이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성주운_받고_운을_쌓은_사람의_차이 #27세_37세_47세_57세_61세_77세 #점집추천 #점집후기 #안양점집 #안양점집추천 #안양시점집 #안양시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살풀이굿 #재수굿 #진오귀굿 #연이궁 #꽃대신 #Shorts 연이궁 꽃대신 상담문의 : 010-6625-2677 상담위치 : 안양시 이재명 대통령 될 수 있나 - 연이궁 꽃대신의 확실한 예언 대운이 들어올때 징조 - 운이 바뀔때 - 대운이란 상문 부정풀이 상문살 직접 푸는 초강력 셀프 비방법 앞날이 창창한 자녀를 위하여 명다리 올리는 특별한 이유 안 좋은 터만 볼 줄 알아도 새는 금전 재물을 막을 수 있다 평생의 연인을 알아보는법 - 혼인 여탐굿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성주(城主):집의 건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가신(家神)의 하나로 성(城)의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성주라 하는데 집을 성조(成造)한다고 하여 성조신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집의 건물만을 수호하는 기능이 있다 집의 건물은 원칙적으로 성주의 보호를 받는다 성주가 임하여 존재하고 있는 대들보가 있는 안채만이 아니고 사랑채나 변소·헛간 등에도 성주가 있어서 건물을 지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와가에 성주요, 초가에도 성주요, 가지막에도 성주’라는 말은 어떠한 형태의 집이든 건물이 있으면 성주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가정을 가지는 집뿐만 아니라 공공건물이나 독립가옥인 신당(神堂)에도 성주는 있다고 한다 또, 배 안에도 성주가 있다고 하는데 이 배의 성주는 집안에 있는 성주의 연장·확대라 할 수 있다 어부에게 있어서 배는 집과 같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성주를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집에는 하나의 성주만이 있고 복수의 성주는 없다 예를 들어서 한 집안에 몇 가구가 세를 들어 사는 경우라 하여도 성주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성주만이 있고 다른 모든 사람은 하나의 성주의 보호권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 가족이 단독 주택을 가지는 경우에는 성주를 가질 수 있다 분가하는 사람도 독립가옥을 가질 때 성주를 가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독립적으로 집을 가진 사람만이 성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남자 주인이 대주(大主)가 되어 성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성주신은 가신의 대표 신이고 대주는 가족의 대표이다 이들 두 대표에 의하여 가운(家運)이 기본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그래서 대주를 성주라고도 부른다 나이가 젊은 대주를 초년성주, 그리고 중년이 되면 중년성주, 늙은 다음에는 노년성주라 한다 성주가 남신으로 신격화되어 있는 것처럼 대주도 남자가 된다 그러나 남자가 없는 경우에는 여자라도 성주가 될 수 있어 남성이라는 성별에 배타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성주는 원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오지 않는 신이다 그러므로 집을 지을 때에 신을 맞아들이는 의례나 굿을 하게 된다 우선 입주상량(立柱上樑)할 때 상량식을 하는데, 대들보에 입주연월일과 ‘응천상지삼광(應天上之三光) 비인간지오복(備人間之五福)’이라는 글귀를 적고, 다시 양단에는 해(海)자나 용(龍)자 또는 구(龜)자를 적어놓고 백지를 붙인 다음 제물을 차려 고사를 지내고 상량한다 이것은 집의 중심이 되는 상량에 성주를 받아들이는 간단한 의례이다 삼광(三光)과 오복은 그 집안에 사는 사람들이 행복하게 되라는 축원이 담겨진 내용이고 해·용·구는 집이 화재를 당하지 않도록 방어하고자 하는 뜻에서 생긴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앙은 풍수신앙이나 궁중신앙(宮中信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집에 따라서는 이러한 의식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날을 받아서 성주신을 맞아들이는 ‘성주받이굿’ 또는 ‘성주맞이굿’이라 하는 굿을 하기도 한다 이 굿의 성주거리에서 그 집 대주로 하여금 성주대[成造竿]를 잡게 하여 신을 내리게 한 다음 성주를 좌정시켜 무녀가 백지를 술에 적셔 대들보에 붙이고 쌀을 뿌려 붙게 한다 이 때 잡은 성주는 소나무 가지인데 이것은 집을 지은 나무의 상징이고, 바로 성주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렇게 받아들인 성주라 하여 영원히 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때로 부정한 일이 생기거나 위험한 일이 있으면 집을 나가버린다 즉, 집안에 출산이나 사망 등의 부정한 일이 발생하였거나 화재 등의 위험한 일이 생겼을 때는 성주가 집을 나가버리기 때문에 다시 모시지 않으면 안 된다 큰 부정한 일이 아니라도 일년 중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부정한 일이 있게 마련이기 때문에 매년 정초나 가을에는 성주신을 새로 모시는 안택(安宅)을 한다 매년이 아니면 격년 또는 대주의 나이 7이 되는 해마다 성주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이 신이 집에 있어야 수호를 받는 것이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성주신을 모셔들이는 적극적인 의례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이다 이 신이 나가는 것을 보면 이 신은 부정한 것을 싫어하고 위험한 일을 피하는 신임을 알 수 있다 대들보는 주로 마루의 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교적 부정한 공간을 피하기 쉽다 방에서는 먹고 자고 나고 죽기 때문에 부정한 공간이지만 마루는 신성한 공간이다 성주를 모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맹격(盲覡)주 01)을 불러 경문을 외우게 하는 안택경(安宅經)이고, 다른 하나는 무당을 불러 하는 성주굿이다 어느 쪽이나 집안의 안전과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내용의 ‘황제풀이’ 또는 ‘성주풀이’라는 긴 서사무가(敍事巫歌)를 창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독이나 항아리·단지 안에 쌀을 담아서 ‘성주독’·‘성주단지’·‘성주항아리’라고 하여 집의 한 귀퉁이에 모시는 신앙이 있다 현재 민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대부분 ‘성주독’이다 성주독은 대개 대청마루 한 구석에 놓인다 충청도·경상도·전라도 지방의 농어민가에서는 성주독을 많이 볼 수 있고, 양반 주택에서는 종이를 접어서 모신 성주 신체를 많이 볼 수가 있으나 꼭 일정하지는 않다 성주신의 기원에 대해서는 성의 주인인 성주를 신으로 받들던 것, 집을 짓는 성조, 즉 목수의 신을 모시는 것, 하늘의 신 상주(上主)를 모시는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나, 어느 것이나 실증적인 것은 아니다 성주굿 [ 城主─ ] : 가신(家神)인 성주신에게 식구들의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달라고 비는 굿 재수굿 중 성주굿 집안의 안녕과 재복을 비는 재수굿의 열두거리 중 성주는 가신을 가리키는데 새로 집을 지으면 특별히 성주맞이를 하기도 한다 ‘성조(成造)굿’이라고도 한다 성주굿은 대개 마을굿이나 개인집 재수굿의 한 제차로서 행해진다 집에 살고 있는 가족의 제액(除厄)과 재수발원이 목적이어서 강원도·충청도·전라도 지방에서는 가정 단위의 재수굿을 성주굿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집을 새로 지어 상량식을 할 때에도 성주굿을 한다 성주굿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새로 성주의 신체(神體)를 모시는 행위가 따르고 「성주풀이」가 불려진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성주굿을 할 때는 성주를 상징하는 신체를 모시는데, 한지에 실이나 동전을 넣은 것이 대부분이고 쌀을 넣은 독으로 모시기도 한다 「성주풀이」는 지역에 따라 내용이 달라 성주신의 내력담인 무속신화인 경우도 있고 단순히 성주신을 칭송하고 소원을 비는 축원무가인 경우도 있다 각 지역의 성주굿은 다음과 같다 서울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지었거나 대주의 나이가 27세·37세·47세·57세 되는 해의 재수굿을 할 때 성주굿을 한다 27세 초년성주, 37세 이년성주, 47세 중년성주, 57세 대성주라고 해서 이때는 새로 성주를 모셔와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 외 집을 고치거나 동티가 나서 성주가 집을 나갔다고 생각되면 성주굿을 한다 성주굿은 재수굿의 제차를 모두 마친 후 뒷전을 하기 직전에 한다 먼저 소나무 가지에 한지를 묶은 성주대를 내린다 대가 내리면 대가 움직이는 대로 밖으로 따라 나가서 새 성주를 모셔 오게 된다 집주인은 상에 떡과 음식을 차려 나가서 신에게 절하고 성주를 다시 모셔 온다 집에 들어오면 한지를 막걸리에 축여 동전과 실을 묶은 것으로 성주의 신체를 만들어 대들보나 안방 문 위에 붙인다 성주 쪽을 향해 쌀을 뿌려 축원한 뒤 무녀는 장고를 치면서 「성주풀이」(흔히 황제풀이라고 함 )를 창한다 성주대는 아궁이에 넣어서 태운다 서울지역의 마을굿인 도당굿이나 부군굿(부군당굿)에서도 역시 뒷전을 하기 직전에 「황제풀이」를 창하는 것으로 성주굿을 한다 영동지역의 서낭굿이나 별신굿에서는 제석을 모신 후 성주굿을 한다 성주굿을 할 때 무녀는 반드시 갓을 쓰는데 이는 여자가 갓을 쓰면 편안하다고 해서 생긴 법이라고 한다 무녀는 반주에 맞추어 성주가 산에 올라가 좋은 나무를 골라 집을 짓는 과정을 서술하고 축원하는 내용의 성주무가를 부른다 마지막으로 막걸리에 적신 한지를 서낭당의 서까래나 벽에 던져 붙이는 마을도 있다 황해도 지역에서는 철물이굿이나 만수대탁굿(대택굿)을 할 때 성주를 모신다 특히 새로 집어 굿을 할 때는 그 집을 지은 목수들을 청해 놓고 온갖 놀이를 하면서 성주굿을 크게 한다 무녀는 먼저 춤과 노래로 성주를 모셔 대접한 후에 목수를 불러 집 짓는 과정을 모의하는 놀이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