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명을 잇고 금전 성불을 말씀해주시는 불사대신 할머니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짧은 명을 잇고 금전 성불을 말씀해주시는 불사대신 할머니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짧은_명을_잇고 #금전_성불을_말씀해주시는 #불사대신_할머니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불사맞이굿 흔히 ‘잎맞이’, ‘꽃맞이’, ‘화전맞이’로 불리면서 봄에 행해지는 서울·중부 지역의 천신(薦新)굿이나 재수굿의 명칭 가운데 하나 불사맞이굿에서는 불교·도교의 신들인 불사·칠성·제석을 대상으로 한 절차인 불사거리가 하나의 독립된 굿의 절차를 갖춘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런 형식의 불사거리를 불사맞이 천궁(天宮)맞이, 사해 용신맞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불사거리가 불사맞이의 형식으로 진행되는 굿을 불사맞이굿이라고 한다 불사맞이의 특징은 불교·도교의 신인 불사·칠성·제석을 주 대상으로 행해지는 굿 절차라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불사맞이는 불교·도교의 신이 한국무속에 수용되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고, 이런 점에서 불교와 도교의 신이 한국사회에 일반화된 고려 시대부터 한국무속에 불사맞이가 자리 잡았을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실린 ‘노무편(老巫篇)’이라는 시에서 무당이 섬기는 신으로 제석(帝釋)과 칠원구요(七元九曜)의 불교와 도교의 신이 확인된다 이 기록을 통해 이미 12세기 경에는 불사맞이와 같은 굿 절차가 성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언제 불사맞이굿이 성립하였는가를 명확하게 말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불사맞이굿은 봄에 하는 일반 천신굿의 하나이지만 불사맞이 또는 천궁맞이로 진행되는 점이 특징이다 보통 이러한 불사맞이로서의 불사거리는 굿하는 집의 가장인 대주의 나이가 홀수이며, 삼재(三災)가 없고, 죽은 자를 위한 굿 절차인 진오기를 함께 하지 않을 때 행해진다 이때 불사맞이에서 물동이(물사슬·용사슬이라고도 함)를 타며, 일반 재수굿의 절차가 부속거리로서 행해진다 그래서 무당들은 불사맞이에 무속의 모든 거리가 다 들어간다고 말하며, 이런 점에서 불사맞이는 굿의 한 가지 절차이면서도 완결된 굿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러한 불사맞이굿에서 불사맞이는 굿하는 공간을 정화하고 여러 신을 청하는 부정거리 이후 행해지는 본격적인 굿 절차에서 가장 먼저 행해진다 불사맞이에서 무당은 가사와 장삼을 입고 머리에 고깔을 쓰고서 손에는 부채와 방울을 든 채로 만수받이로 굿을 시작한다 만수받이가 끝나면 방울을 놓고 부채는 옷에 건 채로 춤을 잠깐 추다가 물동이에 올라가서 물동이 위에서 공수를 준다 물동이에서 내려와 천왕(天王) 중상 타령이라고도 하는 바라타령을 하고 바라를 판다 이어 불사노랫가락을 한다 불사노랫가락이 끝난 다음에 제금에 밤과 대추를 담아 밤·대추로 산(算)을 준다 불사맞이에서 모셔지는 신의 성격은 불사맞이에 대한 다른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다 불사맞이는 다른 말로 천궁맞이, 천존맞이, 칠성맞이, 사해 용신맞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명칭은 이 거리가 하늘과 바다의 여러 신을 청해, 그러한 신들을 대상으로 행하는 절차라는 것을 말해 준다 구체적으로 불사와 칠성, 제석, 용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신들은 천궁, 일월, 바다에 속해 있는 신으로 나타난다 즉 불교와 도교에서 유래한 신들이면서 그 신들이 하늘과 바다의 영역에 존재하는 신으로 그려진다 다시 말해서 불사맞이의 신들은 불교와 도교의 신들에 하늘과 바다의 영역 관념이 복합된 신이다 하늘과 바다의 두 영역에서 특히 강조되는 것은 하늘의 영역이다 서울무속에서 불사맞이의 노랫가락을 보면 이들 신은 은하수를 타고 내려오거나 바람과 구름 가운데 안개 선풍에 내려오는 하늘에 있는 존재로 그려진다 동해안 무속에서는 불교의 신을 모시는 세준굿(또는 시준굿), 중굿을 일월맞이굿이라고 한다 일신(日神)이나 월신(月神), 세존(世尊)은 모두 천상에서 내려온 신으로 같은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무속에서 불교와 도교에서 유래한 신들은 하늘신으로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점에서 불사맞이의 신들은 넓은 의미에서 천신(天神)으로 규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신은 아이의 출산과 수명장수를 담당하는 신으로 여겨진다 흔히 칠성에게 아이의 점지를 빌고, 아이를 잉태시켜 주는 삼신을 ‘삼신제석’이라 하는 것처럼 불사맞이에서 등장하는 불교·도교의 신들은 고유의 삼신 개념과 겹친다 실제로 불사맞이에서 행해지는 바라타령의 주된 내용은 ‘있는 자손은 장수하고, 없는 자손은 점지해서 아들을 두면 효자충신, 딸을 두면 어주부인’이 되기를 축원하는 것이다 ‘지석[帝釋] 전에 복을 얻구 칠성전에 명을 얻구’라는 무가(巫歌)의 구절 역시 제석과 칠성이 인간의 탄생과 수명 및 복을 관장한다는 믿음을 보여준다 용신(龍神) 역시 기자(祈子) 치성과 아이들의 장수를 비는 중요한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처럼 불사맞이의 신들은 인간의 탄생과 수명 및 복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넓은 의미에서 생산신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런 점에서 불사맞이굿은 천신과 생산신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불사·칠성·제석 등 불교·도교의 신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굿이다 천궁맞이상 서울굿에서 천궁맞이에 쓰이는 제물상 천궁맞이상은 원래 재수굿에서도 차렸다고 하지만 현재는 주로 신굿과 진적굿에서만 볼 수 있다 천궁맞이상은 굿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차리는 상이기도 하다 반드시 하늘이 열린 곳에 차려야 하기 때문에 전통 한옥의 경우 마당에, 굿당에서는 창문 옆이나 문 밖에 차린다 복장과 제차, 제물 모두 불사거리와 유사하다 천궁맞이상, 불사상, 안당제석상은 어느 정도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천궁맞이를 따로 하지 않는 진적굿에서는 불사거리가 동일한 역할과 내용을 보인다 다만 ‘천궁’이라는 이름에서 불사거리나 제석거리에 비해 천신(天神)의 의미가 짙어짐을 알 수 있다 떡의 종류와 수는 굿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달라져서 3접시, 6접시, 10접시 순으로 늘어난다 같은 굿에 차린 불사상보다 떡의 수와 종류가 많아야 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기 때문이다 굵은 가래떡인 방망이떡은 한 접시에 세 개에서 여섯 개를 놓는다 여기에 불사시루를 놓고, 다른 떡을 더한다 대신시루를 함께 올리기도 한다 대신할머니시루라고도 하는 대신시루는 멥쌀과 콩을 섞어서 쪄내는 콩설기를 말한다 용떡을 쓴다는 언급도 있다 용떡은 전통 혼례식에 나오는 떡으로, 가래떡을 둥글게 빚어 용틀임 형상으로 만든 떡이라는 기록과 함께 절편을 양푼에 굵직하게 틀어올려 용신에게 바치는 떡이라는 기록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흰색이며, 노란색과 푸른색도 가능하다 붉은 팥떡은 쓰지 않는다 맑은 물을 3그릇 올린다 물 대신 차를 쓰기도 한다 이 차는 보통 찻잎을 우려낸 것이 아니라 물에 대추나 통후추를 띄운 것으로 대추차·후추차(호초차)라고 부르며, 무가(巫歌)에도 언급된다 이는 단순한 물보다 한층 정성을 다한 것으로 여겨졌다 드물게 술을 올리는 굿도 있다 나물은 흔히 삼색나물을 쓴다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가 기본이며 시금치 대신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기도 한다 1970년대까지는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삼색나물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다 각 나물이 신과 조상과 인간을 상징한다는 설명도 있고 하늘로 자라는 고사리, 땅에서 캐는 도라지, 물에서 나는 숙주라는 설명도 있다 드물게 튀각을 더하기도 한다 생밤과 생대추를 접시에 놓고 나머지 과일로는 사과·배·감을 기본으로하여 3, 5, 7, 9, 12종으로 늘어나면서 복숭아를 빼면 종류에 제한이 없다 조과는 산자, 약과, 다식을 기본으로 3-5-7-9-12종으로 늘어나며 옥춘·팔보·하스·밤과자·곶감 등도 볼 수 있다 음식 외에 불사상에서 볼 수 있는 무구로는 상 안쪽에 흰 종이를 접은 고깔, 흰 창호지 한 장을 여러 번 접어서 오려 만든 불사전, 한지를 길게 3등분하여 꼬아 꽃잎 모양으로 만들어서 떡 위에 놓는 새발심지가 있다 새발심지는 굿당에서 흔히 볼 수 없다 천궁맞이 중에는 옆에 놓아둔 물동이를 타면서 공수를 하는 과정이 있다 이를 ‘용궁을 탄다’고 표현한다 주로 무병장수와 집안의 안녕을 빈다 굿:무당이 신을 청하고 환대하고 환송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무속의례 넓은 뜻으로는 무당이 하는 굿 외에 호남·영남지역의 동신제(洞神祭)나 농악에서 징·꽹과리·장구 등의 풍물을 울리는 것을 ‘메굿’ 또는 ‘굿친다’고 하여 굿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좁은 뜻에서는 무속의 제의에 국한하여 사용된다 제의에는 먼저 제의를 올려야 할 신앙대상으로서의 신, 이 신을 신앙하여 제의를 올리는 신도, 신과 신도의 사이에서 제의를 조직적으로 진행시켜야 할 전문적인 사제자(司祭者)로서의 무당이 있어야 한다 이 셋은 제의를 구성하는 일차적 요건으로, 이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없어도 제의는 성립될 수 없다 무속의 제의는 규모에 따라 크게 ‘굿’과 ‘비손(또는 손빔, 비념)’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굿은 여러 명의 무당이 신에게 많은 제물을 올리고 재비(악공)의 무악반주에 맞추어 무복(巫服)을 입고 가무와 실연(實演)을 위주로 제의를 하는 것이고, 비손은 한 사람의 무당이 신에게 간소한 제물을 바치고 가무 없이 앉아서 축원을 위주로 하는 약식 제의이다 따라서 제의진행 때 서서 한다고 하여 전자를 ‘선굿’, 앉은 채로 한다고 하여 후자를 ‘앉은굿’이라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