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참사...산사태 대응 방법은? / YTN
■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 앵커 ■ 출연 : 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 집중호우에 따른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밤사이 계속해서 사망자가 발견되고 있는 오송 지하차도는 물론이고, 산사태로 인한 희생자도 많았는데요 왜 이런 사고가 반복되는 건지,이수곤 전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와다시 한 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어서 오세요 일단 당장 이번 주에도 추가적인 비가 계속해서 예고된 상태입니다 잇따른 산사태 소식에 야산 인근에 계신 주민들은 좀 불안할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주민들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안전행동요령 어떤 게 있을까요? [이수곤] 지금의 비가 많이 와 있기 때문에 조금만 비가 오더라도 산사태가 날 확률이 많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가 산사태로 인명피해 나는 경우 특성을 보면 산에서 사람이 건드린 데, 주로 인도, 텃밭, 도로 같은 데서 산사태가 시작해서 피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까 산지 밑에서 산 상부에 많이 개발한 데가 있으면, 태양광도 마찬가지고요 거기는 무조건 피하셔야 됩니다 지금 실태파악이 안 되어 있는 상태거든요 [앵커] 그러면 산사태가 일어날 거다, 저희가 짐작할 수 있는 전조증상이 있나요? [이수곤] 일반적으로 물이 새어 나오거나 나무가 흔들린다고 하는데 그건 교과서적인 이야기고요 실제로 속도가 너무 빨라서요 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산사태는 규모는 작은데 인명피해가 많은 게 그래서 그렇습니다 피하지를 못합니다 그러니까 이건 확실하게 얘기해 줘야 됩니다 [앵커]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 지역은 취약지구로 지정된 경우도 많잖아요 그런데 위험성이 낮은 지역으로 판정이 됐더라도 이번처럼 집중호우가 내린다면 어떤 산에서라도 산사태 위험이 있다, 이렇게 이제는 봐야 되는 건가요? [이수곤] 그렇게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산에서 산사태 나는 건 당연한데요, 비가 많이 오면 사람이 건드린 데서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거기가 취약지점이거든요 그런데 거기서 산사태가 나기 때문에 거기가 제일 조심해야 됩니다 아무데나 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비가 많이 오면 거기가 먼저 우선순위거든요 그런데 지금까지 올해 난 거 보면 2011년도에 전국적으로 한 달 동안 10군데에서 산사태가 나서 54명이 사망했습니다 거기에 서울에서 우면산 산사태가 16명이고 인천에서 인하대 아이들도 13명이 사망했거든요 인하대 거기도 뭐냐 하면 텃밭이 있습니다 우면산은 공군부대가 있거든요 사람이 건드린 데거든요 십중팔구가 그렇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산사태 취약지역이나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지정한 건 사람이 건드린 데는 빠져 있습니다 그러니까 지금 예천도 그렇고 여기는 위험하지 않았는데 산사태가 나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예측하지 않은 데서 나기 때문에 주민들이 어떻게 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민들한테 실태파악이 중요한데 제가 2009년도 전체를 행안부에서 용역받아서 해 보니까 100만 개 있다고 추정되거든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산림청 취약지역이 한 2만 6000개, 행안부에서 급경사 지역이 1만 6000개 정도 됩니다 그러니까 한 10% 정도밖에 안 되고 90%가 빠져 있거든요 그래서 실태파악이 안 돼 있는 게 현실입니다 그러니까 사람이 건드린 데는 무조건 피하라는 게 그래서 그렇습니다 [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