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益(더할 익,넘칠 일)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4개
益(더할 익,넘칠 일: 더하다, 넘치다, 보탬, 보람, 이득)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益(더할 익,넘칠 일)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4개] 1) 三益友(삼익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2) 損上益下(손상익하): 윗사람에게 해를 끼쳐서 아랫사람을 이롭게 함. 3) 多多益辦(다다익판): 많으면 많을수록 더 잘 처리(處理)함. 4) 擇友交之有所補益(택우교지유소보익): 벗을 가려 사귀면 도움과 유익(有益)함이 있을 것임. 5) 三益之友(삼익지우):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6) 言之無益(언지무익): 말해 보아야 소용이 없음. 7) 老益壯(노익장): 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 또는 그런 상태. 8) 益者三友(익자삼우):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9) 百害無益(백해무익): 해롭기만 하고 하나도 이로운 바가 없음. 10) 老當益壯(노당익장): (1)‘노당익장’의 북한어. (2)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 또는 그런 상태. 11) 去益泰山(거익태산): 갈수록 태산이라는 뜻으로, 점점 힘들고 어려운 지경에 처함을 이르는 말. 12) 言之何益(언지하익): 말해 보아야 아무 소용도 없음. 13) 朝益暮習(조익모습): 아침에 더하고 저녁에 익힌다는 뜻으로, 아침에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더하고 저녁에 그것을 익히는 것처럼 학문 연마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14) 有害無益(유해무익): 해롭기만 하고 이로움이 없음. 15) 徒勞無益(도로무익): 헛되이 애만 쓰고 아무런 이로움이 없음. 16) 去而益詠(거이익영): 소공이 죽은 후(後) 남국의 백성(百姓)이 그의 덕을 추모(追慕)하여 감당시(甘棠詩)를 읊었음. 17) 延年益壽(연년익수): 수명을 더욱더 오래 늘려 나감. 18) 去去益甚(거거익심): 갈수록 더욱 심함. 19) 弘益人間(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 교육, 문화의 최고 이념이다. ≪삼국유사≫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 20) 多多益善(다다익선): (1)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음. 중국 한(漢)나라의 장수 한신이 고조(高祖)와 장수의 역량에 대하여 얘기할 때, 고조는 10만 정도의 병사를 지휘할 수 있는 그릇이지만, 자신은 병사의 수가 많을수록 잘 지휘할 수 있다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2)백남준의 비디오 아트. 1988년에, 10월 3일 개천절의 의미를 담아 1003개의 티브이 모니터로 마치 하나의 거대한 탑처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이 작품은 전화, 라디오, 티브이 방송 따위의 신호를 받는 수신의 의미를 담고 있다. 21) 慢招損謙受益(만초손겸수익): 언제나 거만(倨慢)하면 손해(損害)를 보며, 겸손(謙遜)하면 이익(利益)을 본다는 뜻. 22) 益者三樂(익자삼요): 사람이 좋아하여 유익한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하는 것,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23) 虧盈益謙(휴영익겸): 가득 찬 것을 덜어서 감소한 것에 더해준다는 뜻으로, 하늘의 도(天道)는 해가 정중에서 기울고, 달은 차면 이지러지는 것과 같이 가득 찬 것에서 덜어서 부족한 것에 보태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 (역경(易經)). 24) 開卷有益(개권유익): 책을 펼쳐 놓는 것만으로도 이익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는 것을 권장하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益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