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인구구조 변화 반영…평균수명 늘고 건강수명도 길어져 / KBS뉴스(News)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 반영…평균수명 늘고 건강수명도 길어져 / KBS뉴스(News)

그렇다면 지난 30년 사이 우리 사회 인구구조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또 60세 이상 인구의 근로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화됐을까요? 판결의 배경을 옥유정 기자가 짚어봅니다 [리포트] 아파트 경로당이 어르신들의 작업장으로 바뀌었습니다 평균 나이 75세 한 달에 20시간씩 마스크를 포장하는 일을 하고 월 16만 원을 받습니다 돈을 버는 것보다 더 큰 보람을 주는 건 아직까지 사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겁니다 [조희은/75세 : "75세 됐다 하더라도 완전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한 60대 정도로 생각하고 있으니까 그런 쪽에서 몸 관리나 (일 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고 "] 법정 정년인 60살이 지나서도 일하려는 사람들은 점점 늘고 있습니다 그만큼 기대수명이 늘어서입니다 육체노동 가동연한이 높아진 1989년과 비교하면 평균 기대 수명은 71 2세에서 82 7세로 10년 넘게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만 60세에서 65세 사이의 일하려는 사람만 따져보면 30년 전에는 32만 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여섯 배 넘게 많아졌습니다 수명은 늘었는데 사회 안전망은 부족하고, 그렇다고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체력이 나빠진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박경숙/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 "다른 OECD국가에서는 연금이 가장 대표적인 노년의 소득원이 되고 있는데 한국 사회는 그렇지가 못한 거예요 가족으로부터의 부양이나 아니면 자기 노동소득 사업소득인 거죠 "] 특히 60세에서 65세 사이의 고용률이 60%에 육박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노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