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을 만난 확률? 외계인을 만난 확률을 비교한다면? | 드레이크 방정식의 변수들  | #지식채널e

애인을 만난 확률? 외계인을 만난 확률을 비교한다면? | 드레이크 방정식의 변수들 | #지식채널e

외계인을 만날 확률 인류와 소통 가능한 외계문명, 최소 36개? “그래도 여자친구를 만날 확률이 외계문명과 교신할 확률보다는 100배 높다” 피터 배커스, 논문 ‘왜 나는 여자친구가 없을까?’ 한 도시에서 평범한 연애 상대를 만날 확률은 얼마나 될까? 런던에 사는 31살의 평범한 싱글, 영국 워릭대학의 경제학 강사 ‘피터 배커스’는 3년 동안 여자친구가 생기지 않자 연애 상대를 찾을 가능성을 논문으로 발표했다. 여러 조건으로 계산한 결과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고작 26명뿐이었지만 그는 말했다. “그래도 여자친구를 만날 확률이 외계문명과 교신할 확률보다는 100배 높다” 그가 활용한 방정식이 바로 외계 문명과 교신할 확률을 계산한 ‘드레이크 방정식’이었기 때문이다. 2020년 영국 노팅엄대 연구팀은 새로운 데이터와 가설을 통해 업그레이드된 드레이크 방정식을 공개했다. 기존의 드레이크 방정식을 활용해 계산한 결과, 지구와 소통이 가능한 외계 문명이 최소 36개 이상 존재한다는데...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지식채널e에서는 드레이크 방정식을 통해 외계인을 만날 확률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 삶 속에서 잠깐, 5분 의미있는 순간으로 만드는 채널 공유하고 쌓여가는 지식 🧠👀 ▶홈페이지 : https://jisike.ebs.co.kr/jisike ▶페이스북 :   / ebs.jisik   ▶인스타그램 :   / ebs_jisik.e   #외계인 #외계문명교신 #드레이크방정식 #천문학자프랭크드레이크 #세티프로젝트 #SETI #코로나19 #바이러스전파확률 #피터배커스 #연애 #지식채널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