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식당에서 전단지...공무원들 판 벌린 사연 / KBS 2023.04.27.
비수도권 유일한 인구 백만 명 특례시인 창원시가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백만 명 아래로 인구가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현재 전망인데요, 자칫 특례시의 위상도 위태롭습니다 보도에 손원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창원의 한 대학 기숙사 식당 동사무소 직원들이 2백여만 원 학생 정착지원금 등 전입신고 혜택을 홍보합니다 학교에 다니는 동안에라도 창원에 주소를 두도록 독려하는 것입니다 그 자리에서 전입 신고도 받습니다 [정세진/창원대학교 1학년/전입자 : "기숙사니까 (전입을)해야 되는지 몰랐는데 친구가 다른 지역에 왔으니까 전입 신고하면 이런 혜택도 있다고 해서… "]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 당시 109만 명이던 인구는 10여 년 동안 7만여 명 줄었습니다 이 추세로 100만 명이 무너지기까지는 앞으로 2년여 외국인 만 6천 명을 포함해도, 결국 인구 백만 명 선이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입니다 창원시가 학생,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지원금을 확대하면서 숨은 인구 찾기에 나선 이유입니다 [정성령/창원시 문화동 행정복지센터 : "이런 혜택이 있는 걸 모르시고 전입신고를 아직 하지 않으신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희가 적극적으로 홍보해서 창원시로 많이 전입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하지만 숨은 인구 찾기는 단기 처방일 수밖에 없습니다 창원시는 다른 도시와 비교해 취약한 직업 기회, 안정적 주거, 문화향유 환경, 돌봄체계 등 여러 면에서 더 열악한 것으로 최근 조사에서 나타났습니다 특히 직업과 교육 등을 이유로 20살에서 34살 청년층의 전출이 가장 많은 것도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 [구본우/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 : "잠재적으로 출산을 할 수 있는 집단도 같이 줄어들게 되거든요 출생아 수의 감소에도 청년의 순전출이 굉장히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입니다 "] 전문가들은 창원시의 인구 반등을 위해서는 산업과 교육 등 분야에서 도시 체질을 개선하는 장기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문합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그래픽:김신아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인구찾기 #전입신고 #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