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주식시장은 언제 다시 폭락할까? 사라진 2200만 개 일자리! | 김영익 교수 | 815머니톡
급 반등한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 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김영익 교수님의 분석을 들어보시죠! (촬영일 4월 17일) 1:01 급반등한 미국 주식시장 전망은? 4:45 3월 둘째 주~ 4월 첫째 주 실업률 2200만 건 5:10 2009년부터 2020년 2월까지 10년에 걸쳐 신규 일자리가 2250만개 늘어났는데 한 달 사이에 2200만개 일자리가 사라졌다. 5:35 3월에 비농업분야에서 10만명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70만개 감소하고 4월에는 훨씬 큰 감소 수치가 나올 것이다. 6:38 연준과 미국정부의 과감한 금융, 재정정책은 그만큼 현재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반증. 6:54 이번 바이러스 위기는 여러 가지 경제지표 보면 2008년 금융위기 보다는 충격이 심하고, 1930년 대공황보다는 조금 약하다. 8:00 연준의 이번 금융정책은 양적완화가 아니라 대출 이라는 말도 있는데요? 9:42 대출도 해주고 양적완화도 한 2가지 의미가 있다. 10:10 2008년 금융위기 때는 지원 대상이 명확했지만, 이번 바이러스 위기 지원대상은 명확하지 않고 모든 경제주체가 타격 입고 있기에 모두 지원 해준다고 생각해야 한다. 12:01 하반기에 미국 기업들은 더 어려워질 것이기에 등급을 낮춰가며 지원 해줄 것. 12:16 한국은행도 AA이상 등급만 지원해준다고 했는데 국내 A등급 회사채 물량이 25% 정도이다. 하반기에 BB로 떨어지고 어려워지면 결국 지원하지 않을까 예상. 13:02 이런 정책들이 좀비 기업 생명을 연장시켜주는 면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량기업들도 신용위기에 빠질 수 있기에 일단 살려야한다 13:32 2008년 금융위기를 극복하면서 각 경제주체들이 부실해졌다. 미국은 정부, 중국은 기업, 한국은 가계. 이것을 한 번은 해결하고 넘어갔어야 했다. 13:48 이번에도 부채를 통해 경제를 부추기고 있다. 결국 나중에 기업구조조정을 크게 할 수밖에 없다. 14:22 미국 기업부채도 GDP대비 130%까지 커졌다. 2007년에는 100%. 15:04 수요가 부족해져서 공급측면에서 구조조정을 겪을 수 밖에 없다. 15:28 돈 풀면 시간의 문제지 언젠가는 물가가 오른다. 15:41 전 세계가 엄청난 돈을 풀었는데 지금 물가가 안 오르는데는 2가지 이유가 있다. 15:48 (1) 돈이 안 돈다. 2007년 통화승수 27배. 최근 15배. 일본은 11배에서 3배로 하락. 미국도 10배에서 5배로 하락. 16:15 (2) 전 세계적으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다. 기업들 구조조정이 이루어지면서 균형이 맞으면 물가가 오르기 시작할 것. 16:41 물가가 오르면 자산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빈부의 격차가 더 심해질 것이다. 18:12 미국의 현재 정책은 MMT와 비슷하고 중앙은행의 힘은 약화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