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5개

걱정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5개

걱정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걱정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55개] 1) 慘草除根(참초제근): 풀을 베고 뿌리를 제거한다는 뜻으로, 걱정이나 화근(禍根)이 될 일은 뿌리 채 뽑아 없애야 한다는 말. 2) 萬事無心(만사무심): (1)모든 일에 관심이 없음. (2)근심이나 걱정으로 다른 일을 돌볼 겨를이 없음. 3) 坐不安席(좌불안석):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양을 이르는 말. 4) 漆室之憂(칠실지우): 자기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서 신분이 낮은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5) 若拔痛齒(약발통치): 마치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는 뜻으로, 걱정을 끼치던 것이 없어져 아주 시원하다는 의미. 6)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7) 太平天國(태평천국):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8) 患得患失(환득환실):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9) 輾轉反側(전전반측):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10) 千思萬慮(천사만려): 여러 가지로 생각하고 걱정함. 또는 그런 생각이나 걱정. 11) 寢不安食不安(침불안식불안): 자도 걱정 먹어도 걱정이라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많음을 이르는 말. 12) 求田問舍(구전문사):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집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13) 我躬不閱(아궁불열): 자기 자신이 궁하여 남을 돌볼 처지가 못 됨. 14) 萬波息笛(만파식적): 신라 때의 전설상의 피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데,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뒤, 문무왕이 죽어서 된 해룡(海龍)과 김유신이 죽어서 된 천신(天神)이 합심하여 용을 시켜서 보낸 대나무로 만들었다 하며, 이것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는 등 나라의 모든 근심, 걱정이 사라졌다고 한다. 15) 禍轉爲福(화전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16) 樂生於憂(낙생어우): 즐거움은 언제나 걱정하는 데서 나온다는 말. 17) 寢食不安(침식불안): 자도 걱정 먹어도 걱정이라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많음을 이르는 말. 18) 萬愁憂患(만수우환): 온갖 시름과 근심 걱정. 19) 天下太平(천하태평): 온 세상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세상이 잘 다스려저 평화롭다는 뜻이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下泰平’으로도 표현함. 20) 天下泰平(천하태평):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21) 朝不謀夕(조불모석): 형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앞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22) 暖衣飽食(난의포식):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23) 斷無他慮(단무타려): 다른 근심이나 걱정이 조금도 없음. 24) 無思無慮(무사무려): 아무 생각이나 걱정이 없음. 25) 反禍爲福(반화위복):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26) 憂國之士(우국지사): 나랏일을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27) 養虎遺患(양호유환):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28) 寢室之憂(침실지우): 중국(中國) 노(魯)나라의 한 천부(賤婦)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를 걱정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이르는 말. 29) 游閑公子(유한공자) 30) 朝不慮夕(조불려석) 31) 投鼠恐器(투서공기) 32) 憂患疾苦(우환질고) 33) 八包大商(팔포대상) 34) 如恐不及(여공불급) 35) 世短意多(세단의다) 36) 杞人之憂(기인지우) 37) 我有憂患兄弟亦憂(아유우환형제역우) 38) 轉禍爲福(전화위복) 39) 多男多懼(다남다구) 40) 萬事太平(만사태평) 41) 忘憂之物(망우지물) 42) 寢不安席(침불안석) 43) 顧復之恩(고복지은) 44) 耿耿孤枕(경경고침) 45) 痛心疾首(통심질수) 46) 居安思危(거안사위) 47) 內憂外患(내우외환) 48) 有備無患(유비무환) 49) 寢食不甘(침식불감) 50) 乞人憐天(걸인연천) 51) 談笑自若(담소자약) 52) 食不甘味(식불감미) 53) 腹心之疾(복심지질) 54) 白髮三千丈(백발삼천장): 백발이 매우 길게 자랐다는 뜻으로, 몸이 늙고 근심 걱정이나 비탄이 날로 쌓여 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태백의 (추포가(秋浦歌))에 나오는 말이다. 55) 萬端愁心(만단수심): 온갖 근심 걱정.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걱정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