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저대교, 부산시-환경단체 '커지는 입장 차' (부산)
대저대교 건설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교통난 해소를 위해 하루 빨리 대저대교를 지으려는 부산시와 세계적 철새 서식지를 훼손할 수 있다며 건설을 반대하는 환경단체. 팽팽한 주장을 조율하기 위해 간담회도 열렸지만 이견은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장동원 기자입니다. ========================================= 강서구 식만동과 사상구 삼락동을 잇게 되는 대저대교. 서부산 교통 문제해결을 위한 것이지만 교량 노선이 생태공원을 관통하면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시는 도로망 구축과 경제성 등을 이유로 사업을 강행하고 있고, 환경단체는 생태계 파괴는 물론, 부산시가 피해가 적은 대안 노선을 무시하고 기존 노선을 고집하는 점 등을 들며 서로 입장 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낙동강하구지키기 전국시민행동은 환경영향평가를 심의하는 낙동강유역환경청 앞에서 한 달 넘게 노숙 농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박중록/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집행위원장 부산의 발전을 위해서 개발하려는 것이고, 개발계획에 문제가 없는가? 잘 못 되면 다 우리에게 돌아오고 후손들에게 돌 아가지 않습니까? 그런데도 불구하고 평가서 자체를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의견 개진 기회 자체를 주지 않고 있습니 다. 부산시와 환경단체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는 가운데 환경청은 지난 23일,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환경청장과 부산시 경제부시장, 환경단체 대표 등이 참석했지 만 의견 조율은 못한 채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 . 박중록/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집행위원장 (부산시는) 별반 다른 자료도 준비해 온게 없었습니다. 그 리고 자료에 입각해서 이건 아니다라고 부인한 내용도 없고, 그래서 간담회를 통해서 환경영향평가서의 쟁점 부분이 무엇 이 문제인가, 저희들이 지적했던 부분이 다 거짓 내지는 부 실하게 작성되었다는게 명백하게 입증된 자리가 간담회였습니다 . 부산시가 2018년 환경청에 제출한 환경영향평가는 생태계 부분 조사가 거짓으로 작성된 것이 경찰조사에서 드러 났고, 이후 환경부가 생태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대안 노선까지 제시했지만 부산시는 이를 무시하고 기존 노선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대신 철새 비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교량 높이를 48m에서 24m로 낮추고 삼락과 대저생태공원에 100만㎡의 철새 대 체서식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부산시 대책이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 입니다. 박중록/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집행위원장 연못(서식지) 만들어 주겠다는 장도도 지금 대모잠자리, 맹 꽁이, 삵이라던지 이런 멸종위기종들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입 니다. 멸종 위기에 몰린 아주 살기 어려운 식구들이 살고 있는 서식지를 대신 큰고니를 살게 해야하니까 쫓아내고 원주 민들 쫓아내고 새로운 사람들 여기 살도록 만들겠다는게 부산 시가 말하는 대체서식지의 실태입니다. 환경단체는 법과 상식에 따른 공정한 환경영향평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관련법에는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은 사업을 재검토하도록 하고 있다며 이를 무시할 경우 감사원 감사 등 법적 대응을 고려 중이라 고 밝혔습니다. 반면 부산시는 올해 말 환경영향평가 심사를 마치고 이르면 내년 중순 착공해 2029년 개통할 계획입니다. B tv 뉴스 장동원입니다. #부산남구_부산강서구_부산서구_사하구_수영구_북구_사상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