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日 규제품목 1건 수출허가…기대·우려 공존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krtube.net/image/vSN8l0S8zyU.webp)
[김대호의 경제읽기] 日 규제품목 1건 수출허가…기대·우려 공존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김대호의 경제읽기] 日 규제품목 1건 수출허가…기대·우려 공존 [출연 : 김대호 경제학박사]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 품목 중 하나인 포토레지스트의 한국 수출을 처음으로 허가하며 한일 양국 갈등이 숨고르기에 들어간게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국 갈등이 여전히 '전면전' 양상으로 전개되는 데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교란 작전'이라는 분석까지 나오면서 오히려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전문가의 시선으로 현재 상황 분석해보겠습니다. [김대호의 경제읽기] 김대호 박사 나와계십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첫 번째 수출규제 품목이었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3개 품목 중 일부에 대해 처음으로 수출을 허가했습니다. 스가 관방장관은 "엄정한 심사를 거쳐 안보상 우려가 없는 거래임을 확인하고 수출허가를 부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여기에 담긴 일본의 노림수는 무엇이라 보십니까? [질문 1-1] 오늘 문 대통령이 주재한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는 일본의 수출 규제 이유에 대해 경제 각 분야에서 일본을 추월하는 한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아 눈길을 끌었는데요. 분석 결과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규제품목에 대한 첫 수출 허가와 개별허가 품목 추가 지정이 없었던걸 두고 한일 경제전쟁, 한숨 돌렸다고 보는 의견도 있는데요. 양국간 갈등 잦아들었다 볼 수 있을까요? 관건은 오는 28일 배제조치 시행 이후라던데 이유는요? [질문 3]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에 대한 맞대응으로 우리 정부 또한 일본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하려 했지만 지금은 속도 조절 중인데요. 현 시점에서 어떻게 대응해나가야한다 생각하시나요? [질문 4] 이런 가운데 일본 불매운동 영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긁은 한국인의 신용카드 금액이 7월 중하순부터 감소하는가 하면 일본의 제2도시 오사카의 한국인 관광객 수가 전년대비 30% 이상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던데요. 불매운동이 계속해서 힘을 받는 이유, 무엇일까요? [질문 4-1] 일각에선 일본 불매운동이 궁극적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