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dimir F. Vavilov - 아베 마리아 (내림나장조)

Vladimir F. Vavilov - 아베 마리아 (내림나장조)

NWC 악보 주소 : https://blog.daum.net/m60148/12193273 Vladimir F. Vavilov (블라드미르 표도로비치 바빌로프) - 아베 마리아 (내림나장조) 맨처음 이 곡의 작곡자로 알려진 카치니(Giulio Caccini)는 1551년 이태리에서 태어난 후기 르네상스 및 초기 바로크시대에 활약한 가수, 작곡가, 류트 연주자다. 그는 오페라라는 장르를 개척한 사람 중 한명으로 1602년 [에우리디체]라는 가장 오래된 오페라의 하나로 꼽히는 걸작 오페라를 만들었으며 바로크 음악을 발전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쳤지만 사실 그다지 많이 알려진 음악가는 아니다. 블라드미르 표도로비치 바빌로프 (1925년 5월 5일 ~ 1973년 11월 3일) (Владимир Фёдорович Вавилов, Vladimir F. Vavilov (영어)) 는 러시아의 기타・류트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다. 바로크 음악에 관심이 많았던 바빌로프는 고음악 연구에도 몰두했다. 그리고 그는 1960~1970년대 국영 악보 출판사 편집자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바로크 시대 곡들을 발굴하기도 했다. 1970년 바빌로프는 구소련의 국영 레코드 회사인 멜로디야에서 ‘16~17세기 류트음악’이라는 음반을 발표했다. 여기에 작자미상의 곡으로 표기된 ‘아베마리아(Ave Maria)’가 담겨 있다. 그가 죽고 얼마 후 1975년 소프라노 이리나 보가체바는 이곡을 다시 취입해 발표했다. 이 때 보가체바는 이 곡의 작곡가가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작곡가 줄리오 카치니(1551-1618)라고 표기했다. 그 근거는 바빌로프의 1970년 음반 작업에 동참했던 오르가니스트 마크 샤킨이 이 곡이 ‘카치니의 것’이라고 했기 때문. 하지만 이 곡은 엄연히 바빌로프가 작곡한 곡. 그는 자신과 같은 무명 작곡가의 작품이 온당한 평가를 받기 힘들다고 판단해 그냥 작자 미상의 곡이라고 했었던 것. 헌데, 이것이 와전되어 카치니의 곡으로 둔갑해버린 것이다. 이 곡이 카치니의 작품이 아니라는 증거는 카치니 음악과는 전혀 다른 베니스 시대의 화음 스타일로 작곡한 곡이라는 사실이다. 카치니는 베니스 악파가 생겨나기 100년전에 활동한 작곡가이기에 이런 음악을 작곡할 수가 없다. 어쨌든 이 곡의 경우 바빌로프의 버전도, 보가체바의 버전도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 그리고, 20여 년이 흐른 후 라트비아공화국 출신의 소프라노 이네사 갈란테가 자신의 데뷔 음반에 이 곡을 수록하며 작곡자의 이름은 카치니로 표기했다. 그녀가 부른 ‘아베마리아’는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고, 그러면서 이 곡은 카치니의 곡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 Caccini/Vavilov: Ave Maria (Inesa Gal...  ​ 하지만 21세기 들어 이 곡의 원작자가 누구냐가 화두가 되었고, 현재는 바빌로프의 곡으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구소련의 무명 작곡가 바빌로프보다는 바로크 시대의 명작곡가 카치니의 곡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니 카치니가 원작자임을 바라는 사람들이 많다! ( 푼글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