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의논할 론,도리 륜,조리 륜)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8개

論(의논할 론,도리 륜,조리 륜)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8개

論(의논할 론,도리 륜,조리 륜: 의논하다, 도리(道理), 서로 좋은 의견을 말하여 논함, 말하다, 토론(討論)하다)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論(의논할 론,도리 륜,조리 륜)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8개] 1) 抗表極論(항표극론): 상소문을 올리고 있는 힘을 다하여 논함. 2) 餘無可論(여무가론): 이미 본 것에 기초하여 대강이 결정되어 나머지는 논의할 필요가 없음. 3) 談論風發(담론풍발): 담화(談話)나 의론(議論)이 속출하여 활발(活潑)하게 이루어짐. 4) 堅白論(견백론):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5) 當以別論(당이별론): 상례(常例)에 따르지 않고, 특별히 의논하여야 마땅함. 6) 前事勿論(전사물론): 지난 일에 대하여는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아니함. 7) 論點逸脫(논점일탈): 논설(論說)의 요점(要點)을 벗어남. 8) 傅生之論(부생지론): 이미 내린 사형 선고에 대하여 다른 의견이 있을 때에 감형을 주장하는 변론. 9) 大同之論(대동지론): 모든 사람의 공론(公論). 10) 甲論乙駁(갑론을박): 여러 사람이 서로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편의 주장을 반대하며 말함. 11) 存而不論(존이불론): 그대로 내버려 두고 이러니저러니 따지지 아니함. 12) 尙矣勿論(상의물론): 말할 필요도 없음. 13) 高談峻論(고담준론): (1)뜻이 높고 바르며 엄숙하고 날카로운 말. (2)아무 거리낌 없이 잘난 체하며 과장하여 떠벌리는 말. 14) 廟堂公論(묘당공론): 조정의 군신이 모여 나라의 일을 의논하는 일. 15) 抗疏極論(항소극론): 상소문을 올리고 있는 힘을 다하여 논함. 16) 昌言正論(창언정론): 사리에 맞고 공명정대한 언론. 17) 且置勿論(차치물론): 내버려 두고 문제 삼지 아니함. 18) 空理空論(공리공론): 실천이 따르지 아니하는, 헛된 이론이나 논의. 19) 卓上空論(탁상공론): 현실성이 없는 허황한 이론이나 논의. 20) 風旛之論(풍번지론): 바람에 흔들리는 깃발의 여론이라는 뜻으로, 깃발이 바람에 움직이는 것 같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언론(言論)을 이르는 말. 21) 自歸勿論(자귀물론): 저절로 말할 필요가 없게 된다는 뜻으로, 오래된 일이나 대수롭지 않은 일은 저절로 흐지부지해짐을 이르는 말. 22) 爛商討論(난상토론): 어떤 문제에 대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서 충분히 논의하는 일. 23) 名論卓說(명론탁설): 훌륭하고 이름난 이론이나 학설. 24) 半部論語(반부논어): 반 권의 논어라는 뜻으로, (1) 학습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2) 자신의 지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25) 論功行賞(논공행상): (1)‘논공행상’의 북한어. (2)어떤 사람의 공적을 평가하여 그에 알맞은 상을 줌. 26) 相形不如論心(상형불여론심): 생김새를 보는 것은 마음씨를 논(論)함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의 용모(容貌)를 가지고 길흉(吉凶)을 말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마음씨의 선악(善惡)을 논(論)하는 것이 낫다는 말. 27) 放言高論(방언고론): 생각하는 대로 거리낌 없이 드러내 놓고 큰 소리로 논의함. 또는 그 말. 28) 爛商公論(난상공론): 여러 사람이 모여서 충분히 의논함. 또는 그런 의논.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論에-관한-한자-한자성어-사...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