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俗(풍속 속)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20개
俗(풍속 속: 풍속, 속되다, 범속하다, 세상, 기대)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俗(풍속 속)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20개] 1) 淳風美俗(순풍미속): 인정이 두텁고 아름다운 풍속이나 습관 2) 傷風敗俗(상풍패속): 풍속을 문란하게 함 또는 부패하고 문란한 풍속 3) 同聲異俗(동성이속): 사람이 날 때는 다 같은 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자라면서 그 나라의 풍속으로 인해 서로 달라짐을 이르는 말 4) 低俗劣惡(저속열악): 품위나 질 따위가 속되고 낮음 5) 入國問俗(입국문속): 나라에 들어가면 풍속을 묻는다는 뜻으로, 그 나라에 들어가면 그 나라 풍속을 따라서 좇아야 함을 이르는 말 [ = 入境問俗(입경문속) ] 6) 世降俗末(세강속말):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 7) 美風良俗(미풍양속): 아름답고 좋은 풍속이나 기풍 8) 非僧非俗(비승비속):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이것도 저것도 아닌 어중간함을 이르는 말 9) 習俗移性(습속이성): 습관과 풍속이 성질을 옮긴다는 뜻으로, 습관과 풍속은 마침내 그 사람의 성질을 바꾸어 놓음을 이르는 말 10) 禮俗相交(예속상교): 향약의 네 가지 덕목 가운데 하나 서로 사귈 때에는 예의를 지켜야 함을 이른다 11) 半僧半俗(반승반속): (1)반은 승려이고 반은 속인인 사람 (2)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어서 뚜렷한 명목을 붙이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世俗五戒(세속오계): 신라 화랑(花郞)의 다섯 가지 계율 진평왕 때에 원광(圓光)이 정한 것으로, 사군이충ㆍ사친이효ㆍ교우이신ㆍ임전무퇴ㆍ살생유택을 이른다 13) 化俗結緣(화속결연): 속세의 사람들을 교화하여 불연(佛緣)을 맺게 함 14) 負俗之累(부속지루):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15) 化民成俗(화민성속): 백성을 교화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만듦 16) 釋紛利俗(석분이속): 이상(以上) 팔인의 재주를 다하여 어지러움을 풀어 풍속(風俗)에 이롭게 함 17) 風移俗易(풍이속역): 풍속이 옮겨져 바뀐다는 뜻으로, 풍속이 예전과 달이 변천(變遷)함을 이르는 말 18) 變風移俗(변풍이속): 풍속을 변화시켜 옮긴다는 뜻으로, 풍속(風俗)을 바꾼다는 의미 19) 風俗壞亂(풍속괴란): 세상(世上)의 풍속(風俗)과 풍습(風習)을 무너뜨려 어지럽게 함 20) 入鄕循俗(입향순속): 다른 지방에 들어가서는 그 지방의 풍속을 따름 ≪회남자≫의 (제속편(齊俗篇))과 ≪장자≫의 (외편(外篇))에 나오는 말이다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