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선거] 기호 4번 양옥경 후보 인터뷰](https://krtube.net/image/y0maqiFbbQk.webp)
[22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회장 선거] 기호 4번 양옥경 후보 인터뷰
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세밧사)와 웰페어이슈는 이번 22대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장 선거를 맞이해 각 후보자를 초청해 후보자의 복지국가 철학과 한창 화두가 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인권에 대해 이야기 듣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현재 한국사회복지사협회의 선거 과정이 후보자를 알 수 있는 기회가 적어 후보를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분분했습니다 이런 유권자의 욕구에 부응해 웰페어이슈와 세밧사가 유권자의 알권리를 위해 자발적으로 마련한 인터뷰입니다 특별히 이번 인터뷰는 사회복지사 유권자들에게 질문을 받아 후보자 캠프에 보내드렸고 그 중 하나는 후보자가 직접 골라 답을 했으며, 나머지 질문들은 설정한 주제 안에 녹아내려 후보자께 물었습니다 이 인터뷰는 후보간의 공정성을 위해 편집을 최소한으로 하고 날것 그대로 담았습니다 - 기호 4번 양옥경 후보자 인터뷰 진행 순서- 00:00 인사 01:54 후보자 인사 02:48 세밧사와 웰페어이슈가 복지국가에 대한 후보자의 철학을 묻겠다고 하니 한사협 회장을 뽑는데 왜 그런 것 까지 물어보는가 의문을 표하는 이들도 있었다 이에 대한 후보자의 생각은 04:44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중 후보자는 어느 쪽에 더 무게를 두고 계신가 07:38 한사협이 그동안 복지국가 실천을 해왔다고 하지만 유권자들은 잘 체감하지 못하는 듯 하다 후보자가 생각하는 한사협의 복지국가 실천사례는 무엇을 꼽을 수 있을까 12:41 정부는 ‘약자 복지’라는 이름으로 선택적 복지를 천명했다 후보자가 당선되면 정부와 반대 입장에 서게 되는데 지금 한사협 구조에서 가능할까 14:28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후보자의 실천사례가 있다면 소개해달라 18:32 여성 사회복지사를 상대로 가해지는 성추행 등 인권침해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과 해결책이 있을까 24:05 지방협회 주도로 설치 중인 인권센터에 대한 현장의 온도는 다른 듯 하다 심리 지원 등을 하지만 조사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법률, 노무상담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피해자 구제에는 큰 역할을 못할거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이들이 많은데 이에 대한 후보자의 생각은 28:00 여성 사회복지사 뿐만 아니라 직장 내 괴롭힘, 학대, 인권침해 등 부조리한 일들이 사회복지시설 내에서 발생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에게 현장에서 가해지는 인권침해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와 해결책이 있을까 31:17 최근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제도 문제로 인해 고용불안 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정책 변화로 사업이 통폐합되거나 전환 등의 이유로 폐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정규직으로 취업한 사회복지사의 고용불안율도 높아지고, 비정규직의 숫자도 만만치 않은데 이 문제에 대해 후보자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29:30 시민인권단체 중심으로 노동자와 사용자에 대한 정의를 현실화하는 노조법 2조 개정운동이 진행 중이다 혹시 이에 대해 알고 있는지, 이에 대한 후보자의 생각을 듣고 싶다 32:38 고용문제는 사회복지사협회 사무처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협회장이 교체되면 사무처 직원의 고용을 훼손하는 일이 생기곤 하는데, 한사협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고용 안정을 확보할 방안은 어떤게 있을까 33:34 한사협의 정체성을 ‘사회복지사의 권익단체’로만 한정해서 보는지, 아니면 또 다른 정체성이 있다고 보는가 만약 또 다른 정체성이 있다면 어떤걸 꼽을 수 있을지 말씀해 달라 39:07 유권자 질문 1 (공통) 44:02 유권자 질문 2 (선택) 49:51 끝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