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515개
말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말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515개] 1) 魂飛中天(혼비중천):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2)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3) 愚問賢答(우문현답):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4) 杜口呑聲(두구탄성):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5) 語言薄過(어언박과): 대단하지 아니한 말의 허물 6)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7) 父主(부주): 한문 투의 편지에서, ‘아버님’의 뜻으로 쓰는 말 8) 懸祖考(현조고):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 9)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10)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11) 難言之境(난언지경): 밝혀 말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12) 魚頭一味(어두일미):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13)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14) 負荊(부형):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말 15)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16) 勞而無功(노이무공):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말이다 17)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18) 天不言而信(천불언이신):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19) 下誠(하성):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말 20) 言行相反(언행상반):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21) 浮言流說(부언유설):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22) 樂而忘憂(낙이망우):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23) 橫竪說去(횡수설거): 말을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 하다, 두서가 없이 아무렇게나 떠드는 것 24) 測水深昧人心(측수심매인심):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말 25) 伏慕區區(복모구구): 삼가 사모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말 26) 除煩(제번): 번거로운 인사말을 덜어 버리고 할 말만 적는다는 뜻으로, 간단한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27) 桑濮之音(상복지음):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28) 猛虎出林(맹호출림):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9) 出言有章(출언유장):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30) 傾囷倒廩(경균도름) 31) 累巨萬(루거만) 32) 使臂使指(사비사지) 33) 甘言美語(감언미어) 34) 轉交(전교) 35) 同心之言其臭如蘭(동심지언기취여란) 36) 無憂樹(무우수) 37) 名不虛得(명불허득) 38) 如履薄氷(여리박빙) 39) 詠雪之才(영설지재) 40) 竹馬故友(죽마고우) 41) 變色之言(변색지언) 42) 同根連枝(동근연지) 43) 梁上塗灰(양상도회) 44) 大馬不死(대마불사) 45) 黃壤之客(황양지객) 46) 言有召禍(언유소화) 47) 謀事在人(모사재인) 48) 敢言之地(감언지지) 49) 積善餘慶(적선여경) 50) 南蠻北狄(남만북적) 51) 三豕渡河(삼시도하) 52) 信言之瑞(신언지서) 53) 竿頭之勢(간두지세) 54) 百戰百勝(백전백승) 55) 偕老同穴(해로동혈) 56) 椎輕釘聳(추경정용) 57) 阿父(아부) 58) 他山之石(타산지석) 59) 家無擔石(가무담석) 60) 被髮纓冠(피발영관) 61) 不言之化(불언지화) 62) 駟不及舌(사불급설) 63) 北窓三友(북창삼우) 64) 繼體之君(계체지군) 65) 大言壯語(대언장어) 66) 無足之言飛千里(무족지언비천리) 67) 難爲兄難爲弟(난위형난위제) 68) 蜂目豺聲(봉목시성) 69) 山盡水窮(산진수궁) 70) 乃武乃文(내무내문) 71) 他弓莫輓(타궁막만) 72) 淺學菲才(천학비재) 73) 走馬加鞭(주마가편) 74) 桃李滿天下(도리만천하) 75) 大智如愚(대지여우) 76) 葉錢(엽전) 77) 出口入耳(출구입이) 78) 聰明不如鈍筆(총명불여둔필) 79) 言笑自若(언소자약) 80) 御人如馬(어인여마) 81) 四邪命食(사사명식) 82) 生寄死歸(생기사귀) 83) 調御丈夫(조어장부) 84) 甛言蜜語(첨언밀어) 85) 道有升降(도유승강) 86) 無事不涉(무사불섭) 87) 情弟(정제) 88) 慈母(자모) 89) 開源節流(개원절류) 90) 毒樹毒果(독수독과) 91) 三尺秋水(삼척추수) 92) 揚弓擧矢(양궁거시) 93)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94) 怨入骨髓(원입골수) 95) 餘桃之罪(여도지죄) 96) 寸鐵殺人(촌철살인) 97) 千門萬戶(천문만호) 98) 四海兄弟(사해형제) 99) 壺中天(호중천) 100) 使民以時(사민이시) 101) 千里行龍(천리행룡) 102) 吮疽之仁(연저지인) 103) 輕裝肥馬(경장비마) 104) 結者解之(결자해지) 105) 拔舌地獄(발설지옥) 106) 多岐亡羊(다기망양) 107) 能言鸚鵡(능언앵무) 108) 伏龍鳳雛(복룡봉추) 109) 凌雲之志(능운지지) 110) 仰望終身(앙망종신) 111) 先大夫人(선대부인) 112) 大言壯談(대언장담) 113) 無言不答(무언부답) 114) 晩食當肉(만식당육) 115) 言行一致(언행일치) 116) 如松之盛(여송지성) 117) 華而不實(화이부실) 118) 凱旋將軍(개선장군) 119) 萬古絶談(만고절담) 120) 連枝(연지) 121) 以心傳心(이심전심) 122) 七步才(칠보재) 123) 敬啓(경계) 124) 而立之年(이립지년) 125) 韓亡子房奮(한망자방분) 126) 鳳鳥不至(봉조부지) 127) 夏之日冬之夜(하지일동지야) 128) 十伐之木(십벌지목) 129) 浪說藉藉(낭설자자) 130) 善騎者墮(선기자타) 131) 石田耕牛(석전경우) 132) 鳴鳳在樹(명봉재수) 133) 驚天動地(경천동지) 134) 仕非爲貧(사비위빈) 135) 艾年(애년) 136) 馬頭出令(마두출령) 137) 賊出關門(적출관문) 138) 玄之又玄(현지우현) 139) 河淸(하청) 140) 破性宗(파성종) 141) 北行至楚(북행지초) 142) 洛陽紙貴(낙양지귀) 143)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144) 若網在綱有條不紊(약망재강유조불문) 145) 善惡不二(선악불이) 146) 府部院廳(부부원청) 147) 犬馬之役(견마지역) 148) 斗筲之人(두소지인) 149) 兎死狐悲(토사호비) 150) 望五(망오) 151) 會者定離(회자정리) 152) 知者不言(지자불언) 153) 寂滅之道(적멸지도) 154) 家徒壁立(가도벽립) 155) 敬復者(경복자) 156) 殘杯冷肴(잔배냉효) 157) 點鐵成金(점철성금) 158) 逆耳之言(역이지언) 159) 懸河之辯(현하지변) 160)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161) 死生同苦(사생동고) 162) 嘉言善行(가언선행) 163) 復啓(복계) 164) 坦坦大路(탄탄대로) 165) 道不同不相爲謀(도부동불상위모) 166) 言思必忠事思必敬(언사필충사사필경) 1514)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말 ≪습유기≫에 나오는 말이다 1515) 飯囊(반낭): (1)밥을 담는 주머니 (2)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밥이나 축내는 쓸모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