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급2 배정한자 47 : 航 解 鄕 香 虛 : 배 항(건널 항) / 풀 해 / 시골 향 / 향기 향 / 빌 허](https://krtube.net/image/yBsJZuYmxcU.webp)
4급2 배정한자 47 : 航 解 鄕 香 虛 : 배 항(건널 항) / 풀 해 / 시골 향 / 향기 향 / 빌 허
航 ‘배 항’ (건널 항, 배로물건널 항) * 배 주 + 높을 항(②목 항) 舟는 나무를 파놓은 배 亢은 못 걸어가게 발을 묶어놓은 모양인 것 같은데, 오늘날 ‘높을 항’으로 읽음, 겨룰 항(抗), 배로 물을 건넌다고 하여 건널 항, 배 항 ‘배’라는 뜻보다는 ‘항해하다’는 뜻으로 주로 사용 * 航海항해-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거나 다님, 密航밀항(②비밀(로)할 밀), 航空機항공기-공중을 항해하는 기계, 航空母艦항공모함 解 ‘풀 해’ * 뿔 각 + 칼 도 + 소 우 소의 뿔을 갈라냄(도구로 사용하기 위해서) 후대로 올수록 손이 생략되고 刀만 남음 (다른 설명 : 소에서 칼로 뿔을 자르다 이후 자르다 - 분할하다 - 분해하다 - 풀다 – 풀이하다) * 解答해답, 解釋해석, 解法해법 (수학의 정석 / 해법수학), 解決해결, 解消해소, 解毒해독, 解憂해우 加水分解가수분해-물을 더하면 분해되는 반응, 사람의 소화기 안에서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이 대표적(녹말 → 포도당) 結者解之결자해지 * 게으를 해(懈, 懈怠해태, 게으를 태) 鄕 ‘시골 향’ * 사람이 있고 + 밥그릇이 있고 + 음식이 있다 고소할 흡(皀)은 밥 식(食)에서 사람 인 같은 뚜껑이 생략된 형태 시골에서 두 사람이 밥을 먹으면서 마주보고 있음, 그래서 잔치한다는 뜻 그런데 농사를 짓고 나서 잔치를 하는 사람들이 시골에 살고 있으므로 이 글자가 시골이라는 뜻으로 사용됨, 그러자 ‘잔치할 향(饗)’은 ‘밥 식’을 붙여서 쓰게 됨 故鄕고향, 落鄕낙향-시골로 거처를 옮기거나 이사함 京鄕경향-서울과 시골, 전국 京鄕新聞경향신문, 鄕校향교-시골의 학교, 문묘와 그에 속한 학교(文廟문묘-공자를 모시던 사당) 錦衣還鄕금의환향 * 울릴 향(響, 音響음향) 잔치할 향(饗, 饗宴향연) 香 ‘향기 향’ * 벼 화 + 날 일 여기에서 日은 원래 밥그릇의 모습으로 보인다고 한다 그 밥그릇 위에 벼가 있다 그래서 향기 (다른 설명 : 벼로 밥을 지을 때 나는 달콤한 냄새가 향기다, 고대 중국인에게 밥 냄새는 달콤한 향기였다 ) * 香氣향기, 香水향수, 焚香분향 * 꽃다울 형(馨) (경쇠 경(磬)의 생략형이 음의 역할을 함, 경→형) 虛 ‘빌 허’ * 범의문채 호(⾌) + 언덕 구의 변형 호(⾌)는 입을 쫙 벌리고 있는 범 언덕 3개는 山, 작은 언덕 2개는 丘 언덕과 언덕 사이에 산이 텅 비어있다고 해서 빌 허 * 虛空허공, 虛無허무, 虛榮허영, 虛費허비 虛妄허망, 虛風허풍, 虛飢허기-굶어서 배가 고픔 虛送歲月허송세월, 虛心坦懷허심탄회-품은 생각을 터놓고 말할 만큼 마음에 아무런 거리낌이 없고 솔직함, 虛虛實實전쟁에서 적의 허를 찌르고 실을 꾀하여 싸우는 전략, 상대방의 허점을 찌르고 실리를 얻는 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