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당국, 정상회담 후 첫 '위안부' 협의
한-일 당국, 정상회담 후 첫 '위안부' 협의 [연합뉴스20] [앵커] 지난 2일 한일 정상회담 이후 처음으로 내일 서울에서 군 위안부 문제를 풀기 위한 양국 국장급 협의가 열립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인식 차이가 커 여전히 험로가 예상됩니다. 박진형 기자입니다. [기자] 한·일 정부 당국이 서울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열 번째 국장급 협의를 갖습니다. 지난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통해 '가능한 조기 타결을 위한 협의 가속화'에 합의한 뒤 9일 만입니다. 협상에는 우리 측에서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이시카네 기미히로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나섭니다. 하지만 아베 총리를 비롯한 일본 정부는 지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법적 책임이 끝났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협의 과정은 험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정부는 무엇보다 사죄와 책임 인정, 재정 지원 같은 구체적인 합의안 마련을 시도하리라는 관측입니다. [조준혁 / 외교부 대변인] "일본 정부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우리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양국간 입장 차이가 커 당장 이번 협의에서 성과가 도출되기 보다는 후속 협의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오는 15일 터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와 APEC 등 다자 정상회의에서 양국간 의견 조율이 이뤄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 양국간 접촉 면이 넓어지면서 우리 정부가 목표로 하는 '연내 타결'에 가시적 성과가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email protected]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