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급2 배정한자 23 : 掃 笑 素 俗 續 : 쓸 소 / 웃음 소 / 본디 소, 흴 소 / 풍속 속 / 이을 속](https://krtube.net/image/yUZUn0F52wY.webp)
4급2 배정한자 23 : 掃 笑 素 俗 續 : 쓸 소 / 웃음 소 / 본디 소, 흴 소 / 풍속 속 / 이을 속
掃 ‘쓸 소’ * ‘재방변’ + ‘비 추’ 손으로 빗자루를 가지고 쓸다 * 一掃일소-모조리 쓸어버림 淸掃청소-깨끗하게 쓸다 掃除소제-먼지나 때 따위의 더러운 것을 말끔히 닦고 쓸어서 깨끗하게 함(≑청소)) 掃蕩소탕(②쓸 탕(방탕할 탕))-휩쓸어 모조리 없애 버림 * 며느리 부(婦, 婦女子부녀자) 돌아갈 귀(歸, 歸鄕귀향) 笑 ‘웃음 소’ * 자원이 불분명 ‘대죽머리 + 일찍죽을 요(②예쁠 요)’ 고개가 옆으로 꺾어진 모습, 일설에는 대나무가 휘어질 때처럼 사람이 웃으면 허리가 휘어진다고 해서 웃음 소 (참고 : 夭에는 ②어릴 요의 뜻도 있음 ) 다른 설로는 :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의 소리가 웃는 소리와 비슷하고, 어린아이가 잘 웃는다고 해서, 웃다 * 冷笑냉소-쌀쌀한 태도로 업신여겨 비웃음 또는 그러한 웃음 찬웃음 失笑실소-어처구니가 없어 저도 모르게 웃음이 툭 터져 나옴 또는 그 웃음 拍掌大笑박장대소 素 ‘본디 소’ / ‘흴 소’ * 1) 실을 묶어놓은 것이 너풀거리는 모양 작업 중인 모양, 아직 옷감을 덜 만들었다 그래서 아직은 바탕이고 희다 2)명주실을 누인 후, 물에 빨아 드리운 명주실이 깨끗하다, 희다 이후 희다 - (염색을 하지 않아) 수수하다 - (염색을 할) 바탕 – 본디 * 素朴소박 元素원소 水素수소 素服소복-흰 옷, 상복 素數소수-바탕이 되는 수, 어떤 수를 계속 나누어갈 때 더 이상 나누어지지 않는 바탕이 되는 수 2, 3, 5, 7) (*누이다 : 눕다 - 무명이나 모시, 명주 따위를 잿물에 삶아 희고 부드럽게 하다 ) 俗 ‘풍속 속’ * ‘사람인변 + 골 곡’ 많은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풍속 사람이 풍속을 만들고 따르다 이후 풍습 - 관습 - 대중적이다 - 통속적이다 - 저속하다 – 속되다 * 風俗풍속, 民俗민속, 土俗토속, 還俗환속, 世俗세속, 俗談속담, 俗謠속요-민간에 널리 떠도는 속된 노래 (風俗-1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 따위를 이르는 말 2 그 시대의 유행과 습관 따위를 이르는 말 ) (*속되다-1 고상하지 못하고 천하다 2 평범하고 세속적이다 ) * 목욕할 욕(浴), 하고자할 욕(欲), 욕심 욕(慾) 續 ‘이을 속’ * ‘실사 + 행상할 육(②장사할 육)’ 이을 속은 베틀에서 베를 짜다가 실이 끝나면 다른 실을 계속 이어주다 * 繼續계속, 相續상속, 相續者상속자, 續開속개, 存續존속, 續行속행, 連續연속 * 읽을 독(讀), 도랑 독(더럽힐 독)(冒瀆 冒瀆모독) : 행상할 육이 바탕이 됨 / 팔 매(賣)는 : 그물이 바탕이 됨, 그래서 서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