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앵콜방송] 창세기강해(12) 아하야흐(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신 예수님(요5:43)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창세기앵콜방송] 창세기강해(12) 아하야흐(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신 예수님(요5:43)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아침묵상입니다 제목: 창세기강해(12) 아하야흐(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신 예수님(요5:43)_동탄명성교회 정병진목사 [혹은 ] 천지를 창조하신 분은 엘로힘이시요 그분의 이름은 여호와이시다 그렇다면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신 예수님은 누구신가? 예수님 당시 사람들은 왜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예수님을 보면서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호산나"라고 찬양했을까? 부활 승천하신 예수께서는 왜 자신을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요, 시작과 마침이라"고 하셨는가? 여호와의 이름의 뜻은 대체 무엇이며, 하나님의 또 다른 이름인 '아하야흐'는 무슨 뜻인가? 삼위일체 하나님과 한 분 하나님을 이제 어원적으로 정리해 보겠다 1 들어가며 우리는 2주 전부터 창세기 강해를 시작하였다 창세기 1장 1절을 통하여 창조하시는 하나님(엘로힘)을 배우고 있는데, 그것들 중에서 그분의 이름이 무엇인가를 배웠다 그분의 이름은 '여호와(또는 '야훼')'이시다 이 정도는 거의 모든 성도들이 다 알고 있다 그런데 그분의 이름이 또 다르게 불렸다는 것을 아는 분은 그리 많지 않다 그분의 다른 이름은 '아하야흐(또는 '에흐에')'이시다 그런데 여호와 외에 "내가 아하야흐"라고 말씀하신 분이 또 있다 그분은 예수님이시다(요8:24,28,58) 그렇다면,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인가? 하나님이신가? 그래서 우리는 구약 성경을 통하여 아하야흐가 무엇을 뜻하며, 그것이 신약 성경에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를 성경 원문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조금은 어렵겠지만 자꾸 들으면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다 여호와는 우리의 아버지이시며, 예수님은 우리의 구원자이시다 그런데 누구든지 하나님이 누군지를 잘 모르고 믿게 되면 그 신앙은 미신이 되고 만다 그렇다면 우리가 믿고 있는 여호와와 예수님은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가? 그래서 오늘은 어원적으로 그 이름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예수께서 '아하야흐의 이름으로 오신 분'이라는 각도에서 살펴볼 것이다 영적인 놀라운 시야가 열리게 되기를 바란다 2 하나님의 이름은 무엇인가?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이다 여호와라는 이름은 히브리어의 4개의 자음인 '요오드 헤 와우 헤'가 합쳐진 하나님의 이름이다 이것을 어떻게 소리내어 읽느냐에 따라 '여호와'가 되기도 하고, '야훼'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여호와'라는 이름의 뜻은 대체 무엇인가? 안타깝게도 그 이름의 뜻이 무엇인지는 아직까지 잘 모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그분의 이름의 뜻도 모른 채 하나님의 이름을 불렀다는 말인가? 그렇다 하지만 오늘 메시지를 잘 들으면, 하나님의 이름이 어떤 뜻을 지니고 있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나타나셔서 처음으로 그분의 이름을 가르쳐 주셨다는 사실이다(출3:14~15) 그런데 지금까지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망령되이 불러서는 안된다는 십계명의 말씀을 따라, 하나님의 이름이 나오면 유대인들은 다른 단어로 바꾸어서 부르고 있다 그것은 '아도나이'라는 용어이다 이 '아도나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나의 주님'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것을 헬라어로 번역할 때에는 '주[님]'이라고 번역했다 그러므로 신약 성경에서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라는 문장은 원래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였던 것을 알 수 있다(마21:9) 그렇다면, 대체 '여호와'라는 이름의 뜻은 무엇이었을까? 그 뜻은 무엇인지 모르나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이 누군지는 어느 정도 알 수가 있다 왜냐하면 '여호와'라는 신명사문자는 '요오드 헤 와우 헤'인데, 각 철자의 뜻이 '손을 보라 못을 보라'이기 때문이다 무엇이 생각나는 것이 없는가? 그것은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의 모습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달려 돌아가실 때에 죄패가 붙어 있었다 그리고 죄패에는 3가지 언어(히브리어, 헬러어, 로마어)가 쓰여 있었다 그것은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라는 문구였다 헬라어로는 '예수스 호 나조라이오스 호 바실류스 톤 유다이온'이다 이것을 번역하면 '예수 나자렛 사람 유대인의 왕'이다 히브리어의 첫 글자를 따오면 '요오드 헤 와우 헤(여호와)'가 된다 그렇다 유대인의 왕 나사렛 예수가 여호와라는 말이다 이것은 우연히 그런 것일까? 이제 본격적으로 예수님이 누군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3 하나님의 또 다른 이름 "아하야흐"는 대체 무슨 뜻인가? 출애굽기 3:15를 보면, 하나님의 이름은 '여호와(혹은 야훼)'라고 나온다 그런데 출애굽기 3:14에서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I am that I am)'라고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곧 자신이 '에흐예(I am)'라는 것이다 그런데 '에흐예'라는 발음도 사실은 5~6세기 경에 히브리 맛소라 학파들이 히브리어 '알렢 헤 요오드 헤'에 모음을 첨가하여 음가를 만든 것이다 오늘날에는 그 음가가 '에흐예'가 아니라 '아하야흐'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왜냐하면 '여호와(야훼)'라는 하나님의 이름의 축약형이 '야[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경에 보면 '야'가 붙은 이름이나 단어가 많이 나오는데, 예를 들어 '히스기야, 예레미야, 할렐루야'에도 '여호와(야훼)'의 축약형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출애굽기 3:14에서 말하고 있는 또 다른 하나님의 이름은 '아하야흐'인 것 같다 그렇다면, '아하야흐'의 뜻은 무엇인가? 그것은 '아+하야[흐]'이다 여기서 '아'는 1인칭 단수로 '나'를 뜻하고, '하야'는 be동사를 뜻한다 그러므로 '에흐예 아쉐르 에흐예'라는 문장을 영어로 옮기면, 'I am [that I am]'이요, 우리말로는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이다 그런데 '하야'라는 동사가 미완료형이므로 어떤 이는 'I will be that I will be'라고 해야 한다고도 주장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헬라어 70인역에서는 이것을 어떻게 번역하고 있는가? 그것은 '에고 에이미 호 온(나는 '호 온'이다)'이라고 번역하고 있다 '에고 에이미'는 영어로 'I am'에 해당하며, '호 온'은 에이미 동사(be동사)의 현재 분사 능동형으로서 '이제도 계시는 이' '지금도 여전히 계시는 이'라는 뜻이다 고로 '에고 에이미 호 온'은 '나는 '이제도 계시는 이'이다'이다 그런데 신약 성경에 보니, 예수님께서 당신 자신을 말씀하실 때에 "에고 에이미"라고 말씀하셨을 뿐만 아니라, "호 온"이라고 말씀하셨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조금 있다가 더 살펴보도록 하겠다 4 여호와와 예수라는 이름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5 예수께서는 유대인들에게 당신을 누구라고 소개하셨을까? 6 예수께서는 누구의 이름으로 오셨다고 말씀하셨는가? 7 나오며 이제 우리는 구약 시대에 아하야흐로 오신 여호와께서 신약 시대에는 예수라고 불리는 아하야흐로 오셨다는 말씀을 배웠다 한 분 하나님께서 인류의 구원을 위해 사람으로 오신 것이다 그때 예수님은 자신을 아들이라고 칭했다 하나님으로부터 보내심을 받았기 때문이요, 마리아로부터 사람으로서 출생을 하셨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령의 능력으로 잉태되신 그분은 원래는 아하야흐이셨다 스스로 계신 분이요, 모든 것이 되시고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는 전능자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분은 죽고 부활하시면서 '생명 주는 영'이 되셨다(고전15:45) 생명 주는 영은 곧 성령을 지칭한다 고로 지금 우리에게 있어서 아하야흐는 성령이시다 우리는 여호와와 예수님과 성령님을 이렇게 다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천국에 가면 보좌에 앉아 계시는 분으로서 예수님을 보게 될 것이다 하나님은 영원히 볼 수 없기 때문이요, 볼 수 있게 나타나셨던 분은 오직 신약의 아하야흐이신 예수님이시기 때문이다 그리고 성령님도 볼 수 없다 그분도 영이시기 때문이다 오직 사람으로 나타나셨던 예수님으로 인하여 우리는 하나님도 볼 수 있게 되었다 우리의 구원을 위해 사람이 되신 하나님, 영원히 찬양 받으실 삼위일체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린다 2022년 07월 27일(수) 정병진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