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05. 25 학교 돌봄교실, 지자체 운영으로 안심하고 맡겨요
http://home.ebs.co.kr/ebsnews/menu2/n... 등교를 앞둔 초등학교도 학생들을 맞이할 준비로 분주합니다. 수업 준비와 방역은 물론 맞벌이 가정을 위한 긴급돌봄도 계속돼 학교 현장의 부담이 큰데요. 학교에서는 돌봄 공간을 내주고, 지자체가 운영하는 돌봄교실이 대안으로 꼽히지만, 확대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상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TV를 보며 원격수업을 듣는 아이들 사이로 두 명의 돌봄 교사가 아이들을 도와줍니다. 지난해부터 학교 돌봄교실을 구청에서 운영하면서, 한 교실에서 일하는 돌봄 교사 수가 2명으로 늘었습니다. 운영 시간도 맞벌이 부모의 출퇴근 시간을 감안해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하루 12시간 열려 있습니다. 인터뷰: 강현미 학부모 / 서울 흥인초등학교 "(예전에는) 시간이 길지도 않았고 맞벌이 가정이다 보니까 아침에 애 보내놓고, 애가 끝나면 학원 가기 전까지 잠깐 맡아주는 정도 수준의 돌봄이었다고 하면 (지금은) 시간도 굉장히 길어졌어요. 오전에 맞벌이 부부 같은 경우는 출근 시간에 쫓기다 보면 일찍 맡겨야 하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늘어난 돌봄 시간에 맞춰 저녁 식사까지 챙겨주고,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도 운영 중입니다. 돌봄교실을 위한 출입구와 보안관이 따로 있어, 학교가 문 닫은 이후에도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습니다. 구청의 예산 지원으로 학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은 사라졌고, 코로나19로 인한 '긴급돌봄' 대란에도 돌봄교실은 안정적으로 운영됐습니다. 인터뷰: 김경미 교장 / 서울 흥인초등학교 "중구청에서 돌봄에 대해서는 온전히 다 맡아서 완벽하게 관리해줬기 때문에 돌봄에 대한 걱정 없이 아이들 일반 교육 활동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방역하고, (아이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지자체가 운영하는 학교 돌봄교실은 학교의 부담은 낮추고, 학부모 만족도는 높이는 대안으로 꼽힙니다. 하지만 예산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서울 중구청에서 5개 초등학교 돌봄교실을 운영하는 데 드는 예산은 연간 25억 원. 학교 공간이지만, 지자체에서 운영한다는 이유로 교육부의 예산 지원을 받지 못합니다.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서양호 구청장 / 서울 중구청 "교육부의 예산이 이렇게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돌봄에는 투입할 수 없도록 칸막이가 돼 있습니다. 그래서 온종일 돌봄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해서 지방자치 예산과 교육부 예산이 함께 통합적으로 관리, 운영될 수 있는 제도적 정비가 된다면…" 교육부는 앞으로 '온종일 돌봄 특별법'을 만들어 지자체의 돌봄 책임을 명시하고, 예산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지자체 운영 돌봄교실에 다니는 아동을 3만 명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EBS 뉴스 이상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