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영상창작집단NOW] 김주형 - 베이스클라리넷, 피리, 거문고, 대아쟁을 위한 “장생도(長生圖)II(빛을 향한 꿈)”](https://krtube.net/image/zzzVTptwdjI.webp)
[음악과영상창작집단NOW] 김주형 - 베이스클라리넷, 피리, 거문고, 대아쟁을 위한 “장생도(長生圖)II(빛을 향한 꿈)”
2020년 11월 14일 음악과영상 창작집단 NOW 14회 정기연주회 2021년 11월13일 토요일 오후2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연주 : 위로앙상블 영상 : 신미리 주최 : 음악과영상창작집단NOW 후원 : 서울문화재단, 한국민화뮤지엄, 조선민화박물관, 강진군청 [음악과영상창작집단NOW] 김주형 - 베이스클라리넷, 피리, 거문고, 대아쟁을 위한 “장생도(長生圖)II(빛을 향한 꿈)” 베이스 클라리넷 정성윤 / 피리 박계전 / 대아쟁 최혜림 / 거문고 서정곤 유사 이래 장생長生은 가장 인간의 가장 큰 염원이며 숨길 수 없는 욕망이었다 BC 600년경에 만들어진 유교 경전인 『서경書經』의 「홍범洪範」 편에는 인간이 살면서 누리고 싶은 최상의 복을 다섯 가지로 요약해 오복五福을 제시하고 있다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이 그것인데, 그 중에서도 단연 수壽를 가장 큰 염원으로 내세우고 있다 장생에 대한 욕망은 노화와 죽음이라는 필연을 극복한 신선들의 이야기라든가 그런 존재들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곤륜산崑崙山, 삼신산三神山 같은 낙원의 이야기는 설화와 전설, 기담으로 기록되고 혹은 그림으로 형상화되어 대변해왔다 장생을 염원하는 그림으로는 ‘해반도도海蟠桃圖’ ‘도석인물도道釋人物圖’ ‘곽분양행락도廓汾陽行樂圖’ ‘백수백복도白壽百福圖’ ‘십장생도十長生圖’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 등이 있고, 장수를 상징하는 아이콘 역시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이처럼 ‘무병장수’, ‘장생불사’에 대한 염원은 기복祈福과 길상吉祥을 큰 특징으로 하는 궁궐그림과 대표적인 민화로 자리잡았다 궁궐의 그림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장생도에서 임금의 무병장수와 태평성대를 바라는 마음을 엿볼 수 있는데, 궁중음악인 “보허자” (장춘불로지곡)와 맥락을 이어 불로장생에 대한 그림과 음악의 일체를 시도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