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반도체·스마트폰 재료 등 한국수출 규제 발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日, 반도체·스마트폰 재료 등 한국수출 규제 발표 [앵커] 일본 정부가 우리 주력산업을 겨냥해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강제징용 피해자와 관련한 한국 법원 판결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보도국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호윤 기자. [기자] 네, 일본 경제산업성이 한국의 수출 주력분야인 TV와 스마트폰, 반도체를 겨냥해 전면 규제에 나섰습니다. TV와 스마트폰의 액정화면 부품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리지스트'와 에칭 가스 등 3개 품목의 수출을 규제하기로 한 것인데요. 이들 품목의 한국 수출 절차를 간소화해왔던 우대조치를 철회하고 오는 4일부터 규제에 들어가겠다는 겁니다. 경제산업성은 이번 조치에 대해 "양국 간 신뢰관계가 현저히 훼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되는 대목입니다. 앞서 극우성향의 산케이신문은 "징용 배상 소송을 둘러싼 보복 조치"라며 "한국경제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부는 일단 일본의 이번 보복이 예상했던 범주 안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제에 나쁜 영향은 있겠지만 충격을 줄 정도는 아니라는 것으로, 대체 수입선을 통해 구할 수 있는 부품이라는 판단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은 외환법 우대 대상인 이른바 백색국가 대상에서도 한국을 제외하기로 하고 다음 달 중 관련법을 개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가뜩이나 살얼음판 같았던 한일 관계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겠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는 어제 업계와 긴급회의를 갖고 만일에 대비해 수급대책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어느 정도 예상은 했었지만 일본의 보복 조치가 현실화되면서 맞대응 카드를 꺼내드는 것도 검토 중입니다. 일본 정부는 당초 일본 기업의 피해가 현실화될 때, 다시 말해 강제징용 피해자 측의 일본 기업 자산매각 신청이 이뤄지는 8월쯤 경제 보복에 나설 뜻을 밝혔는데요.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보복 카드를 꺼내든 것은 오는 21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일 분쟁을 쟁점화해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아베 총리의 의도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립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