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우리의 눈과 우리의 손으로 담아내고 그려낸 그림](https://krtube.net/image/5NjlKv_lQWA.webp)
[보물] 우리의 눈과 우리의 손으로 담아내고 그려낸 그림
#문인화가 #김윤겸 #태종대 #영남기행화첩 #다큐멘터리 김윤겸(金允謙, 1711~1775)은 본관이 안동으로, 자는 극양(克讓), 호는 진재(眞宰)·산초(山樵)·묵초(默樵) 등이다 문인화가이기도 한 김창업(金昌業, 1658~1721)의 서자로 부친의 그림 취미를 이어 개성적 화풍을 이루었다 서자라는 신분적 한계로 사대부로 현달(顯達)하지는 못했으나 소촌역(召村驛) 찰방을 지냈다 김윤겸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문인화가 강세황(姜世晃, 1713~1791)과 같이 활동하였으나, 화풍상 전혀 다른 개성과 특징을 보여준다 그는 사물을 극도로 단순화시켜 간단하고 짧은 필선으로 묘사하고, 투명한 담채를 살짝 곁들여 추상미가 풍기는 그림을 그렸다 김윤겸은 조선시대 문인화가 중 특유의 개성과 넓은 지역의 다양한 실경산수를 남겨 회화사상 독특하고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김윤겸의 작품은 꽤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 중 [영남기행화첩]은 주로 부산, 경남 일대의 지역의 경승을 그린 14폭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일부는 현재 유적지가 남아있지 않으나 조선후기 선비들의 여행과 시문서화 예술의 창작 상황을 잘 보여준다 영남지역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14폭의 작품을 남겨, 지방자치 시대인 현대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 작품 자체로도 김윤겸의 회화를 대표할 만한 높은 수준으로, 비록 원래 화첩의 모습은 아니고, 일부 결실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현 상태로도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있다 출처: 문화재청 홈페이지 - 화질 설정에서 HD or 4K 로 선택하시면 고화질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