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인문학] 가장 보편적인 문자-한글 _홍익학당.윤홍식.D278
(160716 심경 강의중) 『훈민정음 해례본』서문을 제가 해석해 드린 것을 한 번 유튜브에서 보세요 이렇게 시작해요 "천지만물에는 다 소리가 있고 소리에는 법칙이 있기 때문에, 그 법칙을 연구해서 인간의 보편적인 언어를 찾아내 보겠다 풍토에 따라서 각각의 알맞은 음을 찾아내 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했다 " 해서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이 얼마나 거창한데요 그런데 이런 인식 토대가 있었다는 게, 여러분 지금 영어 쓰는 사람이 보편적 언어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요? "당신들 영어가 보편적입니까?" "많이 써서 보편적이라는 게 아니라, 그것이 인간의 보편적인 음과 이런 것을 연구해서 만든 언어입니까?" 이렇게 보면, 그냥 쓰던 게 변해서 지금 이렇게 된 거죠 그런데 이 지구상에 그런 언어가 하나 있어요 "우주에는 소리라는 게 있고, 소리에는 원리가 있는바, 풍토에 맞게 그 각각의 소리가 다양한 바, 원리를 연구해서 정확한 그 소리를 찾아내 보겠다, 소리의 원리를 찾아내 보겠다 " 해서 그런 연구를 해가지고 만들어 낸 언어가 우리나라 훈민정음입니다 훈민정음의 창제원리_1강 훈민정음의 창제원리_2강 - 홍익학당 홈페이지 ( - 문의전화 02-322-2537 - 홍익학당 후원하기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