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플러스] 여름철, 열기와 냉기로부터 건강 지키는 법 / YTN 사이언스

[건강 플러스] 여름철, 열기와 냉기로부터 건강 지키는 법 / YTN 사이언스

[앵커] 생활 속에 유용한 건강 정보를 전해드리는 '건강 플러스' 시간입니다 한림대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박경희 교수와 함께 합니다 오늘은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 볼까요? [인터뷰] 여름이 되면 뜨거운 열기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이런 열기와 강한 햇빛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도 생기지만 의외로 추운 실내 기온 때문에 냉기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오늘은 여름철 열기와 냉기로부터 건강 지키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앵커] 여름에 야외 활동 중에서 쓰러지거나 심하면 더운 차 안에서 사망하거나 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는데요, 이런 것들이 일사병이나 열사병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나요? [인터뷰] 일사병이나 열사병 모두 온열질환에 해당하는데요 더운 환경에 노출되어 열 때문에 생기는 응급질환으로는 열경련, 열실신, 열피로, 열사병 등이 있습니다 이 각각은 증상과 정도의 차이로 구별하는데요, 우리가 흔히 더위 먹었다거나 일사병이라고 말하는 것은 열피로 정도까지의 증상을 말하게 됩니다 일사병은 더운 환경에 노출되면서 땀을 많이 흘리면서 염분과 수분이 충분히 보충되지 못하면서 두통, 어지럼증, 근육통 등의 여러 증상이 생기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열사병은 그것보다 더 진행한 형태인데, 대개 수분 소실이 많아지면서 몸은 수분을 유지하려고 땀을 덜 흘리게 만들어서 체온이 40도 이상 상승하고 혼수상태까지 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고위험군으로는 어린아이나 노인들처럼 열에 취약한 사람들이나 심장병이나 당뇨병 등 질환이 있는 환자들을 들 수가 있고요 더운 환경에서 일을 많이 하거나 운동을 많이 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열 질환으로 인한 사망사례의 상당수는 비닐하우스, 논, 밭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차 안과 냉방이나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집 안인데요 집의 경우는 특히 쪽방 같은 곳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취약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일사병이나 열사병으로 힘들어하는 사람을 발견하면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요? [인터뷰]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열사병이 의심되거나 하면 가장 먼저 119를 부르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일사병 정도의 증상인 경우는 우선 서늘한 곳에 환자를 눕히고 옷의 단추 등을 풀어서 느슨하게 해 준 후에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하여 바르게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