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방중, 성과와 과제는? / YTN
■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앵커] 중국 전승절 참석을 위해 2박 3일 동안 방중한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저녁 귀국했습니다. [앵커] 올 하반기 정상외교의 첫발인 중국 방문의 성과와 또 남은 과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 나오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박근혜 대통령이 어제 중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는데 전용기 안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중국과 한반도 평화통일 방안에 대해서 논의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했거든요. 어떤 의미로 봐야 되는 겁니까? [인터뷰] 한중관계 그동안 경제, 문화교류, 군사안보적인 대화가 나눠졌는데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장기적인 플랜에 관해서 서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단계에 올랐다라는 그런 의미를 나타냅니다. [앵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해서 어찌 보면 북한을 빼고 중국하고 직접 이야기한다는 부분은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 겁니까? [인터뷰] 두 가지 점에서 우리가 생각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첫째로는 중국과 이런 논의를 하는 것은 굉장히 반가운 일인데요. 그간 중국이 이번에 발표했던 담화나 스피치를 보면 중국의 입장을 크게 바꾼 것이 없습니다. 즉 한반도의 평화적이고 자주적인 통일에서 자주적인 표현을 한민족끼리의 통일로 바꿨습니다. 즉 미군의 역할과 통일 후에 한미동맹의 역할에 대해서 중국이 아직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고요. 둘째로는 한중간의 논의도 중요하지만 결국 남북한 사이에 우선적인 논의가 있어야 된다는 것을 우리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앵커] 박대통령이 어제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재개관식에 참석을 했고요. 한중비즈니스포럼을 포함해서 동포간담회도 갖고 마지막 일정으로 상하이로 날아가지 않았습니까? 상하이로 마지막에 간 의미가 있을지, 아무래도 임시 정부에 방점이 찍힌 거겠죠? [인터뷰] 대한민국 정부가 임시정부의 정통성과 법통을이어받았다는 점에서 이번에 상하이기념관 재개관식에 참설하신 것은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역사적인 건물과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중국이 각별한 신경과 배려를 해 줬다는 점에서 한중 우호에 큰도움이 되었다고 생각을 합니다. [앵커] 이번에 중국이 임시정부청사 이제 재개관을 한 건데 이거를 보수하는 데 7억원 정도가 들었는데 전...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509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