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화성문화원 문화학교 특강] 한 경계인의 삐딱이 세상 보기 : 연암 박지원 읽기 13강 - 의리를 다시 묻는다, 박지원의 백이론

[2020화성문화원 문화학교 특강] 한 경계인의 삐딱이 세상 보기 : 연암 박지원 읽기 13강 - 의리를 다시 묻는다, 박지원의 백이론

강의자료 다운로드 화성문화원 홈페이지 : 주최 : 화성시 주관 : 화성문화원 강사 : 박수밀(한양대학교) 진행 : 김명수(화성문화원) 매년 진행해오던 화성문화원 문화학교 특강을 올해는 유튜브를 통해 진행합니다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주요인물이자 세계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를 쓴 대작가 박지원 선생에 대한 강의입니다 13강은 의리를 다시 묻는다, 박지원의 백이론입니다 주나라를 정벌하러가던 무왕의 앞길을 가로막으며 불사이군(不事二君)을 주장했던 백이는 효와 충의 상징을 중국 고전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폭군이었던 은나라의 주왕을 정벌한 주나라의 무왕은 또한 성군으로 칭송받습니다 두 가지는 모순 되는 것 같습니다만 조선후기에는 북벌의 상징으로 백이를 내세웠다고 합니다 모순되는 두 가지의 의리와 서슬퍼런 북벌 이데올로기 사이에서 연암선생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이번 강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으실 겁니다 강사 박수밀 선생님은 연암 박지원을 공부하면서 삶이 달라졌다고 말씀하십니다 그러한 변화와 감동이 화성시민과 문화원 회원님들 그리고 영상을 보시는 전 세계의 여러분에게도 전달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강의 순서 강의 순서 1 문장가의 글쓰기 비결 : 생태 글쓰기 2 지식의 허위성을 묻다 3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낭환집서 4 까마귀는 검은색일까?, 능양시집서 5 정조의 문체반정과 연암 박지원 6 연암과 다산, 조선시를 선언하다 7 연암과 박제가, 북학을 외치다 8 연암 선생, 법고창신을 제시하다 9 도로 눈을 감아라 포스트모더니즘과 시뮬라크르 10 눈과 귀를 믿지 말라, 박지원의 일야구도하기 11 친구는 제 2의 나다, 박지원의 우정론 12 산 자가 더 슬프다, 박지원의 죽음론 13 의리란 무엇인가? 박지원의 백이론 14 코끼리에 대한 진실, 박지원의 상기 15 황금에 눈먼 사람들, 박지원의 황금대기 16 지금 여기 연암과 이옥을 다시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