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연화계(蓮華戒, Kamalaśīla)의 주석에 의한 반야심경 이해 및 ‘즉卽’의 의미[4]/남수영/-지장보살츰부다라니呪力-540일-복성경구수식송腹聲經句數息-241225
죽음그놈 매시매초/ 코앞에서 서성이니/ 내코밑의 노는입에/ 소원염불 상시운력運力/ 소원성취메아리tv-[노는입에소원염불] 논문/ 연화계(蓮華戒, Kamalaśīla)의 주석에 의한 반야심경 이해 및 ‘즉卽’의 의미 [4]/남수영/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 2 반야심경과 연화계의 수행 오도 그러나 대본은 소본과는 달리 서분, 정종분, 유통분이라는 경전의 일반적 형식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그 내용을 대조해 보면 소본은 대본의 정종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는데, 반야심경에 연화계의 수행 오도를 적용해 보면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된다 반야심경(대본)은 반야심경(소본)에 서분과 유통분을 더한 것이고, 비교적 새로운 산스크리트 사본 및 번역 연대가 늦은 티벳역과 한역에서 발견되므로, 소본이 먼저 성립한 후 경전의 형식을 보완하기 위해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渡辺章悟, 高橋尙夫 編(2016), 般若心經註釋集成 : インド·チベット編, 5쪽 참조 반야심경(대본) 본 연구에서 사용한 범본(대본)은 中村校訂本 Prajñāpāramitāhṛdayasūtram이고, 한역(대본)은 法成이 856년에 번역한 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범본은 中村元, 紀野一義 譯註(1960), 般若心經 金剛般若經, pp 175-177에 수록되어 있고, 한역은 대정장신수대장경 제8권, 850쪽중-하에 수록되어 있다 1 서분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세존께서 비구들의 무리, 보살들의 무리와 함께 왕사성의 영취산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깊은 깨달음’이라고 부르는 삼매에 들어 있었다 그때 깊은 반야바라밀 속에서 수행하던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은 오온이 자성공(自性空)임을 분명하게 보았다 그때 장로 사리자가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에게 이렇게 물었다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깊은 반야바라밀의 수행을 실천하려고 하면 어떻게 공부하면 좋겠습니까?” 그러자 성스러운 관자재보살 마하살이 장로 사리불에게 이렇게 말했다 evaṃ mayā śrutam | ekasmin samaye bhagavān rājagṛhe viharati sma gṛdhrakūṭe parvate mahatā bhikṣusaṃghena sārdhaṃ mahatā ca bodhisattvasaṃghena | tena khalu samayena bhagavān gambhīrāvasaṃbodhaṃ nāma samādhiṃ samāpannaḥ | tena ca samayenāryāvalokiteśvaro bodhisattvo mahāsattvo gambhīrāyāṃ prajñāpāramitāyāṃ caryāṃ caramāṇa evaṃ vyavalokayati sma | pañca skandhās tāṃś ca svabhāvaśūnyān vyavalokayati || athāyuṣmān chāriputro buddhānubhāvenāryāvalokiteśvaraṃ bodhisattvam etad avocat | yaḥ kaścit kulaputro gambhīrāyāṃ prajñāpāramitāyāṃ caryāṃ cartukāmaḥ, kathaṃ śikṣitavyaḥ ? evam ukta āryāvalokiteśvaro bodhisattvo mahāsattva āyuṣmantaṃ śāriputram etad avocat | PHS, pp 175-176 如是我聞 一時薄伽梵 住王舍城 鷲峯山中, 與大苾蒭眾 及諸菩薩摩訶薩俱 爾時, 世尊等入 甚深明了三摩地 法之異門 復於爾時, 觀自在菩薩摩訶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觀察照見五蘊 體性悉皆是空 時, 具壽舍利子, 承佛威力, 白聖者觀自在菩薩摩訶薩曰 “若善男子欲修行 甚深般若波羅蜜多者, 復當云何修學?” 作是語已 觀自在菩薩摩訶薩 答具壽舍利子言 般若波羅蜜多心經, 法成譯, 대정장 제8권, 850쪽 중-하 2 정종분 ⑴자량도 ∼ ⑸무학도 “사리자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깊은 반야바라밀다의 수행을 실천하려고 한다면 …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여 무상정등각을 얻는다 이 부분은 다음 장에서 자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계속/ 보례진언普禮眞言 아금일신중 즉현무진신 변재지장전 일일무수례 我今一身中 卽現無盡身 遍在地藏前 一一無數禮 [옴 바아라 믹] ㅡ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 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ㅡ 츰부다라니-개경게開經偈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隅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我今聞見得修持 願解如來眞實義 ㅡ 츰부다라니-개법장진언 開法藏眞言 [옴 아라남 아라다] ㅡ 명부단[冥府壇]거불정례 나무 지장원찬[願讚] 이십삼존 제위여래불 나무 유명교주 남방화주 대원본존 지장보살마하살 나무 좌우보처 도명존자 무독귀왕 나무 풍도대제 명부시왕 태산부군 판관귀왕 병종권속등중 ㅡ 청법게[請法偈] 차경심심의 대중심갈앙 유원대지장왕 광위중생설(3說3拜) 此經甚深意 大衆心渴仰 唯願大地藏王 廣爲衆生說 ★ 지장보살 즉설주왈 [地藏菩薩 卽說呪曰] -- 중덕구경기별주술다라니 衆德究竟記莂呪術陀羅尼 [神呪] -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 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 [總持章句] ★ 츰 부 대 다 라 니 ①나모라 다나다라 야야②나막알야 치티가르바야 모지사다바야 ③마하사다바야④마하가로니가야⑤다냐타ㅡ ①츰부 츰부 츠츰부 ②아가샤츰부 ③바라가츰부 ④암부츰부 ⑤바이라츰부 ⑥바즈라츰부 ⑦아로가츰부 ⑧담마츰부 ⑨사타야-마츰부 ⑩사타야닐-하라츰부 ⑪비야발로가 차나츰부 ⑫우파샴마츰부 ⑬나야나츰부 ⑭바라지나-삼마디-라나츰부 ⑮차나츰부 ⑯ 비시리-야츰부 ⑰샤사다라-바츰부 ⑱비야나수티 마히례/다히례 담미셤미 ⑲자가라셰 자가라-마시례 치레 비례 ⑳히례가라 삼발라 브라뎨 ㉑히례 바라볘-바라자라 말리다니 ㉒라다-나바례/자자자자-히례미례-예가타㉓탁케-탁쿠루/ 타례타례㉔미례마뎨 타뎨구례 구미례 ㉕미례앙구짇다비 ㉖아리기리 바라기리 구타 샴마례㉗낭게낭게낭굴례 ㉘후루후루후루㉙구루소도㉚미례미-미례뎨㉛미례다례 ㉜바다다 혜라혜례혜례㉝후루 후루루 ➊바바-라사 비슈다니 사바하 ➋가리유가 비슈다니 사바하 ➌가루-사마나 비슈다니 사바하 ➍가루사-마하붓다 비슈다니사바하 ➎가루-사라사 비슈다니 사바하 ➏가루-사오자 비슈다니 사바하 ➐살바-샤바리 부라니 사바하 ➑살바사야 삼바다니 사바하 ➒살바-다타아다 디치뎨 사바하 ➓살바-모지사다 바누-모지뎨 사바하 {[석교최상승비밀장다라니집]21 [방산석경]영인본28} {★ kṣitigarbha boddhisatvā kṣaṃbhu dhārani namo ratnatrayāya namo ārya kṣitigarbhaya boddhisatvāya mahāsatvāya mahakarunikaya tadyathā kṣaṃbhu kṣaṃbhu kṣukṣaṃbhu Akasa kṣaṃbhu varaka kṣaṃbhu aṃbhu kṣaṃbhu vaila kṣaṃbhu vajra kṣaṃbhu aloka kṣaṃbhu dama kṣaṃbhu satyama kṣaṃbhu satya nirhāra kṣaṃbhu vyavaloka kṣava kṣaṃbhu upaśama kṣaṃbhu Nayana kṣaṃbhu Prajna saṃmuttī Rana kṣaṃbhu kṣaṇa kṣaṃbhu viśīrya kṣaṃbhu śāstālava kṣaṃbhu vyaṇa Suti mahile dāhile dame sama cakrase cakra Masire kṣīre bhire hira savvala brate menyewa prabhe ratnapāre cacacaca hile mile eka thaḥkhe thadkhūru thare thare mire māḍhe tāḍle kumile mile aṅgucittāvi ari giri para guri kuṭa uleule āṅge bhadada hara hila hile hulu huru lu bhavaraja viśodhane svāhā kalīyuga viśodhane svāhā kaluṣamana viśodhane svāhā kaluṣa mahābhta viśodhane svāhā kaluṣa rasa viśodhane svāhā kaluṣa oja viśodhane svāhā sarvāśapari pūraṇi svāhā sarvasya sapadane svāhā sarva tathāgatādhiṣṭhite svāhā sarva bodhisatvanumodite svāhā } {林光明 編著 [방산명주집]3, 台北: 嘉豐出版社 2008 } ㅡ 축원/츰부다라니원력-(이 츰부다라니를 오로지[唯] 염송[呪力]하여[具-갖추어])-[意譯-free translation]-지장보살님의 대원呪力에 힘입어 한결같이 정진하겠사오니 1 此[차] 츰부다라니具[구] 2024년각종시험응시불자擁護令離怖畏사바하(수능,입학,학위,임용,승진,승급,추천 등) 이루어지이다 2 此[차] 츰부다라니具[구]지장기도인연불자擁護令離怖畏사바하(사업자,결혼,운전 운항,운동[체육]극한직업종사자) 이루어지이다 3 此[차] 츰부다라니具[구]소원성취메아리법당[백중49재봉안영가]등 각열위열명영가擁護令離怖畏사바하(49재,법당봉안영가 기제사,수자령 자살,낙사,객사,수중고혼,륜화참사,산난이사 등) 이루어지이다 ㅡ 정근 ★ 나무유명교주∼남방화주∼대원본존∼지장보살마하살 ★ 지장보살멸정업진언-地藏菩薩滅定業眞言 【 옴 바라마니다니 사바하 】 [다다익선] ★ 지장대성위신력 항하사겁설난진 견문첨례일념간 이익인천무량사 ★ 나무·백천방편·교화중생·지옥미제·서불성불·지장보살마하살 지장대성서원력 항사중생출고해 십전조율지옥공 업진중생방인간 고아일심귀명정례 ★ 참회게/원멸 사생육도 법계유정 다겁생래제업장 아금참회계수례 윈제죄장실소제 세세상행보살도 立脫坐忘唯誓願-終身精進常行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