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순의 서도소리 '소리의 길' 서도시창과 서도민요 중 수심가(愁心歌),반엮음수심가

한명순의 서도소리 '소리의 길' 서도시창과 서도민요 중 수심가(愁心歌),반엮음수심가

「수심가」는 서도소리의 대표적인 노래다 내용은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하고 사랑하는 님을 그리워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수심가」의 유래에 대해서는 서북인의 차별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병자호란 때의 기생 부용이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가사를 살펴보면 여기저기 시에서 차용한 흔적이 두서없이 보이는 점, 그리고 한문 문투의 혼합적 사용이 보이는 점 등으로 보아, 오랜 세월에 걸쳐 평양 지방을 중심으로 기방(妓房) 등에서 구전되면서, 소리하는 자에 따라 변형되고 증편에 증편을 거듭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아리랑」처럼 「수심가」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평안도 지방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나 오래도록 구전되면서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또한 1916년 남궁설이 발간한 『특별대증보 신구잡가』라는 책에는 현재에 불리지 않는 20여 수의 가사가 보이며, 이를 분석해 보면 「수심가」 가사의 특징은 특정한 원본(텍스트)이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원본에 즉흥성과 차용성이 가미되어 변형이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많은 이형(異形)이 존재할 수 있고, 때문에 가창하는 사람의 정서나 공연장의 분위기에 따라서 즉흥적으로 얼마든지 첨가, 변형이 가능한 소리가 바로 「수심가」인 것이다 경기 민요인 「창부타령」도 이와 비슷하다 한편 현재의 서도 소리 창자들이 수심가를 시창할 때 보통 가장 먼저 시창하는 "약사몽혼(門前石路半成沙)으로 행유적(行有跡)이면, 문전석로(門前石路)가 반성사(半成沙)로구나"는 이옥봉의 시 「몽혼(夢魂)」에서 유래한다 이옥봉(李玉峰)의 시와 생애를 잠시 들여다보면 수심가 전체 노랫말의 애조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 [네이버 지식백과] 수심가 (창악집성, 2011 07 04 , 하응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