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일방통행이었다면? 중앙선 있었다면?...이태원 참사 시뮬레이션 돌려보니 / YTN
한국교통연구원을 찾아 몇 가지 상황을 가정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을 위해 실제 사고가 발생한 이태원 골목길을 간소화해 재구성했습니다 전체 도로 폭은 지적도상에 나온 5m를 적용했고, 골목 입구부터 10m는, 현장 취재와 소방당국이 발표를 참고해 3 2m로 설계했습니다 먼저 실험 1, 이태원 골목길에는 어느 정도 인파가 모였을 때부터 문제가 발생할까? 양방향으로 유입되는 사람이 늘면서 이동 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는데요 3분이 지나면서, 사람들이 오도 가도 못하는 정체가 발생합니다 이때 골목길에 있는 인원은 고작 360명에 불과했습니다 양쪽 끝을 제외하곤 출구가 없는 좁은 골목길 아무런 통제를 하지 않았을 때 400명 정도가 지나가기에도 벅찼던 겁니다 [이 준 /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 : 180초 이상에서 정체 현상이 발견되고, 이제 특수 구조적인 특수성이 뭐냐면 좌우를 피할 데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럼 서로 자기가 가려는 방향으로 밀고 밀기만 할 거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지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은 상황이 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내려가는 사람도, 올라오는 사람도 모두 우측통행을 하게 했더니, 220초, 3분 40초가 돼서야 정체가 발생합니다 이때 유입 인원은 6백 명에서 8백 명 통제가 없었을 때보다 정체가 발생하는 시간이 늦춰졌음은 물론, 최소 3백 명에서 많게는 5백 명까지 추가로 통행이 가능했습니다 [이 준 /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 : 우측보행을 시키게 되면 보행자가 약 1분 동안 100명에서 200명 정도가 더 빨리 지나갈 수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반적인 우리 피해 상황을 봤었을 때, '100명 200명이 지나갈 수 있는 걸 확보하는 것만으로도 큰 성과가 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기대해 봅니다 ] 마지막 세 번째 실험은, 골목길을 일방통행으로 통제했다면 어떻게 달라졌을까, 하는 겁니다 유입 인원이 늘면서 흐름이 다소 느려지기는 하지만, 정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최대 유입 인원도 4분 10초가 지나면서 8백 명에 도달했는데, 여기서 더 늘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일방통행으로 통제했을 경우, 정체되지 않고, 흐름이 계속 발생했습니다 다만 도로 폭이 좁아지는 변수 때문에, 30분 정도 지나면 일부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 준 /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 : 결국은 이 관, 도로를 사람이 지나가는 거는 흐름으로 볼 수 있거든요 근데 이 흐름이 멈추게 되면, 압력이 무한대로 증가합니다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 실험을 정리해보면, 아무 통제가 없으면 채 4백 명도 지나기 힘든 골목길이지만, 양방향 무작위 통행을 우측통행으로 통제하면 5백 명 정도는 더 통행할 수 있었고, 아예 일방통행으로 흐름을 만들면 정체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시뮬레이션은, 많은 변수를 제외하고, 단순한 상황을 가정해 실험한 것으로, 구체적인 결과는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관계 당국이 기본적인 통제와 상황 관리에 나서는 것만으로도 사고 확률이나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YTN 민대홍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채널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