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둥이부터 88만원세대까지...세대론으로 돌아본 70년 / YTN

해방둥이부터 88만원세대까지...세대론으로 돌아본 70년 / YTN

[앵커] 386세대, X세대, 88만 원 세대. 광복 이후 질곡의 70년 역사 속에 다양한 세대론이 등장했습니다. 세대 끼리 때로는 반목하며 갈등하기도 했지만, 서로 어우러지며 지난 70년간 우리 사회의 발전을 함께 이끌어왔습니다. 박소정 기자가 세대론을 통해 70년을 돌아봤습니다. [기자] 보통 한 세대는 30년 정도를 의미하지만, 역동적인 우리 사회에서는 10여 년을 주기로 새로운 세대론이 나타났습니다. 1945년 태어난 '해방둥이'들과 6.25 전쟁 이후 '베이비붐 세대'는 궁핍함 속에 성장했고, 4.19 세대는 학생 운동사의 첫 세대로 자리매김합니다. 이후 민주화운동 세대로도 불리는 '386세대론'이 등장합니다. 1960년대 태어나 80년대 대학생활을 하고, 1990년대 30대였던 세대로 정치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임종석, 서울시 정무부시장, 386세대] "(386세대가) 사회 전반에서 더욱 수평적인 소통, 좀 더 진취적인 태도, 이런 문화들을 만들어내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386세대에 대항해 'X 세대론'이 전면에 나타납니다. 소비 성향이 크고 자유분방한 가치관을 지닌 1970년대생들로, '서태지와 아이들'로 대표되는 대중문화가 화려하게 꽃핀 시기였습니다. 1980년대 이후 태어나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청년 세대는 '88만 원 세대'라고 이름 붙여집니다. 모순된 사회 구조를 비추어주며 삼포 세대, 비정규직 세대 등 다양한 담론을 낳았습니다. [박권일, '88만 원 세대' 저자] "비정규직 노동이나 청년인턴 문제라든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 사회적으로 시정할 수 있는 계기가 됐던…." 90년대 이후 태어난 세대는 디지털 미디어에 익숙한 네트워크 세대, 'N 세대'라고도 불립니다. [이택광, 문화평론가] "어떻게 보면 한국사회가 가진 특징들을 설명하는 데 세대론이 유용하기 때문에, 또 계급 담론이 드러내지 못하는 측면을 세대론이 드러내기도 하거든요." 세대론이 세대 사이 갈등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있고 세대 간 소통과 이해를 넓혀준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어찌 됐든 그 시대를 드러내는 거울이라는 점만큼은 분명합니다. 광복 70년을 지나 새로운 70년을 살아갈 우리 앞에 또 어떤 세대가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YTN 박소정[[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3_20150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