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기획보도 5] 용산 기지 공원화, 부산 시민공원에서 배운다
[앵커멘트] 용산 미군 기지의 반환에 따른 문제점과 과제를 살펴보는 기획보도 오늘이 다섯 번째, 마지막 순서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용산 기지 외에도 반환된 미군 공여지를 도심 속 공원으로 조성한 대표적인 사례가 또 하나 있습니다 바로 ‘부산 시민공원’인데요 용산공원 조성을 앞두고 배울 점은 무엇인지 박준상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한 해 천만 명이 찾는 도심 속 휴식 공간 ‘부산 시민공원’ 지금은 넓은 잔디밭을 자랑하는 지역의 명소가 됐지만 일제강점기엔 군사 훈련소와 경마장으로 활용되다가 해방 이후 미군 부대가 주둔했던 땅이었습니다 용산 기지와 비슷한 길을 걸어온 만큼, 부산 시민공원도 부지 반환부터 시민들 품으로 돌아오기까지 8년간 숱한 갈등과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 [이동흡 부산시 그린부산지원관] “과거의 잔재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습니다 일제의 유산은 없애야 한다 미군의 잔재를 없애야 한다는 분도 있었고, 이것도 역사의 흔적이기에 보존해야한다는 분들도 있었어요 ” 부산 시민공원에 주둔했던 미군 하야리아 부대는 유류탱크가 다수 있던 물류기지여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드러냈고, 건물 300여 채를 허문 상태에서 토양정화 작업이 실시되기도 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공원조성을 주도한 부산시는 환경단체 등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공원 완성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의견수렴을 거쳤습니다 [이동흡 부산시 그린부산지원관] “처음에 공원 계획, 설계, 구상 모든 단계에서 시민들과 함께 만들었고요 결과적으로 이름조차 시민공원으로 만들었고…” 반면 ‘특별법’을 통해 공원 조성 근거를 마련한 용산 공원의 경우, 지자체가 빠진 상태에서 국가 주도로 사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자체가 정부로부터 부지를 매입했던 부산 시민공원과는 달리 ‘용산공원조성 특별법’은 국토부 장관 주체로 공원의 종합기본계획을 수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나 용산구로서는 지역민의 삶과 밀접한 최대 현안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공원 조성에는 들러리만 서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는 일부 환경오염 조사 결과와 문화재 관리 문제 역시 미군 동의가 필요하다며 자세한 정보 공개를 꺼리고 있습니다 잇따른 비판과 성토에 국토부는 오는 2027년으로 계획했던 공사 완료시점을 일단 철회했지만, 풀어야할 숙제는 여전히 적지 않습니다 [ 배성호 국토교통부 공원정책과장] “저희가 계획 자체를 열린 계획으로 가져가기로 했습니다 착공, 준공 시점을 특정하지 않겠다 긴 호흡으로 계획을 추진하겠다 또 시민들과의 소통이나 의견수렴을 실질적으로 진정성있게 해나가겠다 ” 내년부터 본격적인 실태 조사에 돌입하는 용산 기지, 역사의 상처와 아픔, 그동안 불거진 혼란과 갈등을 딛고 ‘1호 국가 공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습니다 BBS 뉴스 박준상입니다 박준상 기자 tree@bbsi co 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