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스터디] 금융위기 시 미국채 & 금의 역할에 대해 | 나스닥 미국주식 미국채 금 자산배분

[투자스터디] 금융위기 시 미국채 & 금의 역할에 대해 | 나스닥 미국주식 미국채 금 자산배분

#금융위기 #미국채 #금 #자산배분 [투자스터디] 금융위기 시 미국채 & 금의 역할에 대해 | 나스닥 미국주식 미국채 금 자산배분 오늘은 금융위기 시에 미국채와 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자산배분할 때 투자하는 자산들은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대체자산 등이 있는데 1) 위험자산은 대표적으로 미국 주식 S&P500 'SPY'나 나스닥 100 'QQQ' 등이 있고 2) 안전자산은 가장 대표적으로 꼽히는 게 미국채입니다 3) 2022년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역대급으로 빨리 올리면서 미국채도 큰 손실을 입었고 인플레이션 시기에서는 미국채도 위험자산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까지 디플레이션 환경을 가장 잘 방어할 수 있는 자산은 미국채입니다 미국채는 잔존만기에 따라서 장기 중기 단기 이렇게 있는데 장기 미국채 TLT와 중기 미국채 IEF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주식과 상관관계가 높으면 (가격) 흐름이 비슷한 거고 상관관계가 낮으면 (가격이) 반대로 가는 건데 미국채는 (미국주식과) 상관관계가 가장 낮은 자산 중 하나입니다 자산배분 시에는 상관관계가 낮고 변동성이 클수록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미국 장기채를 쓰면 조금 더 수익률 개선에 도움이 되고 중기채는 안전자산 효과가 조금 떨어지지만 변동성이 작은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4) 대체자산은 금과 비트코인이 있는데 대체자산 카테고리는 기축통화 달러 기반 경제 시스템 외연에 있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달러의 가치가 희석되면 금의 가치가 오르고 금과 달러의 가치가 반대로 갑니다 금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산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대체자산으로 나누어서 자산배분 투자하면 금융위기나 경기침체 같은 리스크를 헤지(hedge)하면서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2 연준은 통화정책에 따라서 기준금리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데, 그게 하나의 사이클을 만들어서 주기적으로 금융위기(economical crisis)나 경기침체(economical crisis)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는 위험자산의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안전자산의 가격이 오르게 되고대체자산 중에서 안전자산 속성을 가지고 있는 금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기 침체에는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돌아서기 때문에 금 자체가 미국의 기준금리를 내릴 수록 유리한 자산인 것도 상승 요인중 하나입니다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에는 미국채와 금 그리고 현금인 달러 자산이 리스크를 헤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3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형'은 금리와 투자자의 심리에 따라서 어떤 식으로 자산들이 움직이는지 분석한 모형입니다 저는 직접 투자를 하면서 깨닫게 된 원리들을 합쳐서 저만의 코스톨라니 달걀을 만들어서 컨텐츠에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을 가장 기본적인 투자의 나침반으로 사용합니다 연준의 금리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할 수 있는 '코스톨라니 달걀 모형'에 따라서 앞으로 기준금리 국면이 구체적인 시간만 다르지 방향성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다가올 기준금리 국면을 판단할 수 있고 국면에 따라서 앞으로 유리할 자산을 미리 지금에 비중을 늘리고 현재 좋은데 앞으로 다음 단계에서 나빠지는 자산들의 비중은 지금 낮춰서 고점 매도를 하게 됩니다 영상에서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것은 지금 그 자산이 유리해서 늘린다는 게 아니고 다음 단계에서 유리하니까 미리 늘린다는 것(저가매수 & 선취매)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연준의 기준금리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자산의 유불리가 바뀌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리밸런싱과 동적 자산배분을 해서 패시브 투자를 진행합니다 4 현재 코스톨라니 달걀 그림에서 확인하면 지금 6월 FOMC 전후로 금리 고점에 이르고 있습니다 직전 기준금리 사이클과 비교해보면 2018년 12월이 금리가 고점이었는데 근데 2018년 10월 정도에 나스닥이 고점을 찍고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그때서부터 미국채와 금이 올랐던 걸 차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리 고점이 되기 한 두 달 전에는 자산 시장에 반응이 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현재 미국 주식 계속 오르고 있고 미국채랑 금은 아직까지 오를 기미가 안 보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버블의 최고점 구간에서의 나스닥 시장의 반등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F 에서 A(금리고점)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데 코스톨라니 달걀에서는 기준금리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흘러갑니다 즉, 결국 기준금리는 고점에서 유지하다가 내려갈 것임을 암시합니다 만약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때는 본격적인 경제 위기를 대비해야 합니다 TLT와 금은 금리고점(A)구간 전후에서 저가에 매집해서 경제위기(C) 구간 근처에서 매도하여 이익을 확정하는게 좋습니다 나스닥 같은 위험자산은 버블의 최고점(B) 구간 까지 반등하다가 하락하게 되는데 처음으로 낮출 때 하락했다가 다시 진정되며 상승을 이어가고 그러다가 금리를 계속 내리면 내릴수록 어느 순간에 갑자기 경제위기가 찾아오게 됩니다 이때는 대비하기 이미 늦었고 경제위기 전에 성장주를 매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2018년 기준으로는 당시에 금리 고점 이후에 9개월 동안 유지하다가 처음 금리를 내렸는데 본격적으로 나스닥이 하락한 시기는 2020년 2월입니다 그럼 금리 고점이 만약에 2023년 9월이라고 가정하면 2023년 9월에서 일 년 더 하면 2024년 9월이 되는데 금융위기가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러번 말씀드렸던 듯이과거 40 년에는 기준금리가 계속 내려가는 디플레이션 금리 사이클이라서 금리 사이클 주기가 길지만 지금은 인플레이션 금리사이클이라 주기가 짧고 빠르게 지나갈 수 있습니다 예시로, 이번에 금리 인상도 굉장히 빨리 올렸습니다 여기서부터 여기 지나가는 구간(A ~ B)도 빠르게 지나갈 수 있는데 감안해서 (A ~B 구간이) 1년보다 못 미친다 하면 내년 6월이나 내년 상반기 정도에도 빠르면 금융 위기가 올 수 있습니다 이번에 만약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어떤 계기가 나온다면 하이먼 민스키 모델의 버블이 붕괴될 트리거가 될 수 있습니다 5 과거 2020년 3월에도 자산배분 실전투자를 통해 2020년 1 월부터 3월까지 한 3 ~ 4 달 동안 수익률이 +5 3% 로 나스닥 100 'QQQ' 는 -12%, S&P 500 'SPY' - 19%, 'TQQQ' 는 -50% 하락 대비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헤지한 경험이 있습니다 기준금리 사이클 상으로 보면 2018년에 9월 부터 12월까지 하락이 2022년 하락이랑 비슷한 시기고 2023년 반등이 2019년과 비슷합니다 앞으로 일어날 경제 위기는 코로나19와 비슷한 시기라고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그 시기는 2023년 말이나 2024년 초가 될 수도 있고 늦으면 2024년 중순 이후가 될수도 있습니다 위기가 터지는 걸 미리 미리 이렇게 나스닥이 좋을 때 이익실현해서 싸게 떨어져 있는 금과 TLT를 사면서 헤지를 할 수 있습니다 1) 나스닥 100(QQQ)이 2018년 9월에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TLT는 2018년 10월 저점을 확인합니다 그러니까 미국 주식이 고점을 찍고 나서 조정이 일어날 때 그때 TLT는 최하로 떨어져 있었는데 그때서부터 저점을 찍고 TLT는 쭉 반등하게 되죠 TLT 반등 이유는 아까 코스톨라니달걀 모형에서 경제 위기로 가고 있는 구간이였기 때문에 스마트 머니들이 미국채를 추세적으로 모으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금은 미국 주식은 계속 오르고 있는데 TLT는 전저점을 뚫고 내려오고 있습니다 과거 2018년에 미국 주식이 고점일 때도 TLT는 2018년 10월까지 저점을 헤매다가 미국 주식이 고점을 형성하고 나서부터 반등을 시작해서 다음 금융위기인 코로나 위기 때까지 큰 상승을 이뤄냈습니다 2) 금도 마찬가지인데 미국 주식이 마지막 버블 구간에서 상승하는 동안에는 금도 쐐기형으로 전고점을 뚫지 못하고 바닥을 다지다가 근데 미국 주식이 고점을 찍은 2018년 9월 서부터 금도 바닥에서 상승하기 시작해서 2020년 3월에 코로나 위기 때 이후 7월까지 고점을 높였습니다 2020년 7월서 부터 미국 주식이 상승하니 금도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쐐기형으로 지금까지 가격이 정체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번에 미국 주식이 어느 순간에 고점이 만들어지고 하락장이 펼쳐지면 금도 다시 한번 상승 추세를 탈 수 있는 시기가 올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모든 자산들은 특히 미국 주식과 미국채, 금의 관계를 보면 미국 주식이 오를 때는 미국채와 금이 상대적으로 약세고 미국 주식이 떨어질 때는 미국채와 금이 상대적으로 강세가 됩니다 미국 주식이 올랐을 때는 미국 주식을 팔고가격이 싼 TLT나 금을 사고 미국 주식이 하락했을 때는 하락한 만큼 TLT와 금이 올라주면서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헤지하고 안정적으로 투자를 운영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런 식으로 자산배분에서는 'B L A S H ' - 'Buy Low and Sell High' 저가매수 & 고가매도를 자산별로 반복하면서 전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이고 기하평균 수익을 높여가는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거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투자자가 본업에 충실하면서 부업으로 passive 하게 투자하여 성공적으로 투자성과를 내고 경제적 자유로 가는 여정을 기록하고 공유합니다 :D ------------------------------------------------------------------------------------------ #투자전략 #투자스터디 #재테크 #금융위기 #주식시장 #미국채 #금 #인플레이션 #위험자산 #안전자산 #대체자산 #포트폴리오관리 #비트코인 #디지털자산 #코스톨라니달걀 #미국경제 #연준 #기준금리 #리스크헤지 #헤지전략 #주식투자 #경제위기 #경기침체 #경제예측 #경제전망 #투자심리 #상승장 #하락장 #나스닥100 #qqq #TLT #buylowsellhigh #저가매수 #고가매도 #리밸런싱 #비중조절 #spy #디스인플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