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9운 바뀌면서 벌어지는 문제 - 2022년 10월 31일 영상 발췌 - 대전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풍수 #9운 #바뀌면서 #벌어지는 #문제 #2022년 #10월 #31일 #영상 #발췌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운(運) 실력, 노력이라는 내적 요소 외에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모든 것 사람의 평가를 결정짓는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말하며 세상의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이 따르기만 한다면 세상에 불가능한 게 없을 정도로 온갖 부정적인 조건들을 쉽게 뛰어넘을 수 있다 이게 따라주지 않으면 아무리 개인이 노력해도 쉽게 될 일도 제대로 안 풀리며, 반대로 운이 제대로 따르는 경우 노력과 실력 없이도 억만장자가 된다 물론 운만으로 세상이 결정되는것은 아니다 계획과 노력이 있을때 운이 방점을 찍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행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또는 자신에게 닥친 불운을 최소화 하기 위해선 계획과 노력이 필수 요소이다 물론 그 모든것을 뛰어넘어 인간이 어찌할수 없는 불운과 행운도 있긴 하나, 그런 경우가 닥칠 확률보다 소소한 운들이 찾아올 확률이 훨씬 크므로 운은 부가요소지, 만사를 주관하는 절대적인 것이 절대 아니다 이것의 절정을 찍은 감독을 운장이라고 부른다 운이나 불운은 한꺼번에 온다는 말도 있으며 네이버 캐스트에서는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만약에 운과 불운이 각각 무작위로 일어난다면 군집 현상에 의해 일정한 간격보다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생기게 되고, 이 때문에 가끔가다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과학이고 나발이고 항상 일관되게 운이 나쁘거나 좋은 사람도 늘 존재한다( )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이 있듯이 종종 소설, 드라마, 영화 따위에서 극한의 행운과 극한의 불운을 서로 짝을 짓는 개념을 소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냥 지나가다 벼락을 맞는 사람은 로또에도 당첨될 수 있다던가 하는 얘기들이 있다 수학적으로 보면 운은 예측 불가능한 매우 다양한 변수들이 공존하는 모집단이다 여기서 '매우 다양한'은 무한대를 말한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무수히 많은 원숭이에게 마찬가지로 무수히 많은 타자기를 건네 주어 아무렇게나 영원히 치게 하다보면 그 중 성경 한권이 완성된다거나, 동전을 영원히 던지다보면 억단위로 앞면만 나온다던가 하는 상상하기 힘든 일들도 일어나는 것도 가능은 하다는 것이다 확률이 0이 아니기 때문에 더 철학적으로 나가면 결정론이라고 하는데, 모든 우주만물를 관찰할 수 있다면 모든 사건들을 예측 가능하므로 세상 모든 일의 결과는 결정되어있다는 식의 이야기가 된다 하지만 결국 기껏 5분 앞도 못내다보는 인간은 이 운이라는 요소 즉, 불확실한 미래에 휘둘리게 되어있다 탈:뜻밖에 일어난 변고나 사고와 그에 따른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예정한 노정을 탈없이 마쳤다거나 아무 탈없이 잘 지냈다는 것은 전자의 예이고, 속담에 일이 크게 벌어진 것을 두고 ‘탈이 자배기만큼 났다 ’ 하는 것은 후자의 보기가 된다 탈은 그밖에 병(病)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먹은 음식으로 말미암아 체하거나 설사 나거나 하는 뱃속 병의 총칭으로 사용하는 배탈이란 용어에 잘 드러난다 뜻밖에 발생하고 원인을 알 수 없는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두고 표현하던 탈이란 개념은 점차 민간 신앙에 수용되어 처벌과 관련된 막연한 영적 존재로 발전한다 그런 막연한 민간신앙적 개념 가운데 임신 중이나 아이를 놓다가 죽은 여인들의 탈이 무(巫)에서 하탈(下頉)이라는 한 종류의 잡귀잡신(雜鬼雜神)으로 확정된다 탈은 그러므로 한국인의 어떤 부정적인 관념이 하위신령으로까지 발전해 가는, 민간종교의 중요한 개념이다 탈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 문헌적 출처도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유(鄭東愈)가 지은 『주영편 晝永編』에 탈에 관하여 언급한 것이 있다 그는 우리 나라에는 자전(字典)에도 없는 글자가 많다 하고, 그 가운데 속명(俗名)과 뒤섞인 글자[雜字]의 한 예로 ‘칭탈(稱頉)’을 들었다 사람들이 흔히 일을 사고(事故)라고 칭탁(稱託)하여 모면하는 것을 ‘칭탈’로 쓴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쓰는 탈의 한자인 ‘頉’이 우리 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임을 알 수 있다 민속신앙·생활·문학작품·속담 등은 탈의 종류와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속담에는 ‘죽는 놈이 탈 없으랴 ’하여 어떤 재앙이라도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계집과 숯불은 쑤석거리면 탈난다 ’는 여자가 남자의 유인에 잘 넘어감을 뜻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모두 어떤 좋지 않은 결과나 그 원인으로서의 탈을 표현하고 있다 생활 가운데서 탈은 여러 종류와 내용으로 사용된다 앙탈·속탈·뒤탈·배탈·까탈 또는 가탈 등이 그러한데, 앙탈은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핑계를 대어 피하거나 남의 말을 안 듣고 불평을 늘어놓거나 생떼를 쓰는 것이다 ‘앙탈을 부린다’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속탈은 먹은 것이 잘 삭지 않아 생기는 병으로 배탈과 유사한 뜻을 가진다 뒤탈은 어떤 일에 대하여 뒷날의 걱정이나 근심, 또는 뒤에 생기는 탈을 말한다 ‘모든 일을 뒤탈 없이 잘 처리하자 ’는 용례는 일반적이다 까탈은 ‘왜 이 일에 그다지도 까탈이 많으냐 ’는 예처럼 일이 수월하게 되지 않도록 방해하는 조건을 가리킨다 탈의 생활적 용례는 이처럼 다양한데, 가요 가운데도 “이것 참 큰 일 났네, 큰 탈이 났네 ”라는 구절이 있는 정도이다 탈을 주제로 다룬 문학작품으로는 「변강쇠가」를 대표적인 것으로 손꼽을 수 있다 변강쇠가 경상도 함양(咸陽)의 장승을 뽑아다가 도끼로 패어 군불을 많이 넣었는데, 이 변고를 들은 팔도 장승들이 회의하고는 변강쇠에 달려들어 각기 자기네 맡은 대로 온갖 병을 들게 하여서 변강쇠는 송장이 되고 만다 장승을 패어 덥게 때고 그날 밤을 자고 깨어나서도 변강쇠가 아직 별고 없음을 판소리에서 “아무 탈이 없었구나 ”라고 노래한다 그 탈은 그러나 결국 장승들의 징벌과 변강쇠의 병사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는 탈이 일상적인 뜻이 아니라 영적 존재 내지 민속신앙 대상의 처벌과 관련되어 있어 탈의 민속종교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 그런 면이 무(巫)에서는 명확하게 드러난다 조상(祖上)과 관련하여 1930년대까지도 서울에서 불리던 「지두서 指頭書」라는 무가(巫歌)에 “청산의 청나비는 입이 걸려 못 나오고 흥산의 흥나비는 꽃이 걸려 못 나온다더니 아모씨 조상님네 탈에 걸려 못 나오실 제 애탈 지탈 넋의 넋탈 지방 너미 천너미 가시문 지게쇠문 지게 넘어 오실 제 진언이나 외어 가옵소서 ”란 대목이 있다 조상이 탈에 걸려 이승의 굿판으로 못 나온다면 그 탈은 이미 예사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런 탈이, 그 구체적인 뜻은 불분명하나 애탈·지탈·넋탈 등으로 개념화된다 굿의 부정거리나 뒷전에는 탈이 잡귀잡신의 한 종류로 잡혀진다 하탈이 그것이다 제가(諸家)집 부녀 가운데 아이 배고 죽었거나 아이 낳다가 죽거나 아이 놓고 죽은 귀신을 가리키는 하탈은 전통굿의 뒷전에서 뒷전의 한 거리로 놀아졌던 것이다 이것은 다시 잡귀잡신 가운데 억울하고도 비참하게 죽은 귀신인 영산과 연결되어 영산의 하위개념으로서의 하탈영산이란 종류를 형성한다 그래서 부정거리에서는 “낳구 가구 배고 가든 하탈영산”이라며 한 대목이 불려진다 한국사회가 근대화되면서 의학의 발달로 임산부나 산모나 해산 모가 죽는 일은 거의 사라졌다 그에 따라 하탈이라는 잡귀잡신도 차츰 그 의미를 잃어버리고 뒷전에서 더 이상 놀아지지 않는다 다만 부정거리에서 하탈영산으로 잠시 언급될 뿐이다 부정(不淨):재앙과 질병을 유발시키는 생리적·물리적 및 정신적·윤리적 더러움을 뜻하는 민간용어 이와 유사한 말로 동티·살(煞)·추악(醜惡) 등이 있다 부정은 재앙이나 질병을 직접 유발하기도 하고, 그와 함께 부정이 악귀를 자극하거나 신령의 노여움을 촉발함으로써 부정이 재앙이나 질병을 몰고 오는 것으로 민간신앙에서 믿어진다 부정이 오염(汚染)이라면 그것은 당연히 정결함과 대립된다 특히 굿판에서 이 ‘오염·정결’의 양분적 대립은 매우 중추적인 구실을 한다 굿거리에 부정거리가 있듯이 굿의 성공 여부가 바로 이 양분적 대립의 조절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굿의 진행과정에서 신내림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든지, 혹은 공수가 쉽사리 얻어지지 않는다든지, 점괘가 잘 맞지 않는다든지 할 때, 그 원인을 무당들은 굿을 올리는 단골의 부정한 탓으로 돌리는 것이 상례이다 그런가 하면 가정집의 제사에서도 부정을 피하고 정결함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지켜지고 있으니 한국인의 부정의식을 엿볼 수 있다 한국민속신앙에서는 성(聖)과 속(俗)의 양분적 대립과 거의 같은 비중을 행사하는 것이 부정과 정결의 대립이라 하겠다 그러나 성과 속이란 말이 추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용어라고 한다면 민속 현장에서 실제로 구체적인 기능을 다하는 비율은 부정과 정결의 대립 쪽이 우세하다 물리적으로 부정이란 더러운 물건 혹은 부패한 물건들과 깊이 관계가 있다 거름이나 두엄이 부정이고 배설물이 부정인 것은 그 좋은 본보기다 죽음(및 주검)이 부정인 까닭도 시신(송장)의 썩음과 무관하지 않다 성행위가 부정으로 간주되는 이유도 같은 데서 찾을 수 있다 그밖에도 이상야릇한 것, 비정상적인 몰골을 한 것 등도 부정의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