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복이 들어오는 현관 풍수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집에_복이_들어오는 #현관_풍수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풍수(風水):생기가 흩어지고 머무는 현상에서 시작해 음양론과 오행설을 토대로 땅에 관한 이치를 체계화하여 길흉화복을 설명하는 종교용어 풍수지리·감여설 구성은 산(山)·수(水)·방위(方位)·사람 등 네 가지의 조합으로 성립되며, 구체적으로는 간룡법(看龍法)·장풍법(藏風法)·득수법(得水法)·정혈법(定穴法)·좌향론(坐向論)·형국론(形局論)·소주길흉론(所主吉凶論) 등의 형식논리를 갖는다 ‘풍수’라는 용어는 중국 동진(東晉)의 곽박(郭璞)이 쓴 『장서 葬書』에 “죽은 사람은 생기에 의지하여야 하는데……그 기는 바람을 타면 흩어져버리고 물에 닿으면 머문다 그래서 바람과 물을 이용하여 기를 얻는 법술을 풍수라 일컫게 되었다(葬者乘生氣也……經日氣乘風則散界水則止……故謂之風水) ”라는 기록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이미 그 이전부터 풍수라는 말이 쓰였다는 것은 분명하다 풍수의 본래적 의미는 지극히 일상적이고 평범한 생활환경을 대변해 주고 있는데, 풍(風)은 기후와 풍토를 지칭하며, 수(水)는 물과 관계된 모든 것을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풍수의 대상은 현대 지리학의 관심분야와 다를 것이 없다 도읍이나 마을의 자리 잡기, 집터 잡기, 물자리 찾기, 정원수의 배치, 길내기 등은 말할 것도 없고, 땅을 보는 기본적 시각, 즉 풍수의 사상성은 인문주의적 입장과 같다 또한, 철저한 윤리성과 인과응보적 토지관은 오늘날 사회지리학자들의 지역불평등에 대한 태도와 일치된다 이런 면에서 풍수는 인류의 출현과 함께 자연스럽게 형성, 발전되어 온 땅에 대한 태도의 체계화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살아 있는 사람과 땅의 관계뿐 아니라, 죽은 사람의 경우까지 매우 중요시한다는 점에 풍수의 특징이 있다 풍수의 기본논리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땅 속을 돌아다니는 생기(生氣)를 사람이 접함으로써 복을 얻고 화를 피하자는 것이다 사람의 몸에 혈관이 있고 이 길을 따라 영양분과 산소가 운반되는 것처럼 땅에도 생기의 길이 있다는 것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경락(經絡)과 같은 것이 땅에도 있다는 것으로, 경락은 혈관과는 달리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나 몸의 기(氣)가 전신을 순행하는 통로로서, 지기(地氣)가 돌아다니는 용맥(龍脈)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땅 속 생기의 존재 자체는 아직 증명되어 있지 않으나 그 존재가 전제되어야 설명되는 현상들이 많이 있으며, 과학적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있는 사실을 없다고 할 수는 없다 산 사람은 땅의 생기 위에 얹혀 삶을 영위하면서 그 기운을 얻는 반면, 죽은 자는 땅 속에서 직접 생기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산 사람보다는 죽은 자가 얻는 생기가 더 크고 확실하다 죽은 자가 얻는 생기는 후손에게 그대로 이어진다고 여겼는데, 이를 동기감응(同氣感應) 또는 친자감응(親子感應)이라고 한다 이러한 풍수지리이론을 수록한 풍수서는 중국의 것이 대종을 이룬다 『장서』를 비롯하여 『지리사탄자 地理四彈子』·『청오경 靑烏經』·『입지안전서 入地眼全書』·『탁옥부 琢玉斧』·『인자수지자효지리학 人子須知資孝地理學』·『설심부 雪心賦』·『양택대전 陽宅大全』 등이 널리 알려진 풍수지리서이다 『명산론 明山論』·『산수도 山水圖』 등은 우리 나라의 명혈(名穴)·길지(吉地)를 지도와 함께 수록한 풍수실용서이고, 『도선답산가 道詵踏山歌』·『금낭가 錦囊歌』·『옥룡자유세비록 玉龍子遊世祕錄』 등은 가사체로 된 풍수지침서이다 이 밖에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풍수서가 나와 있으나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대개는 앞서 나온 책을 베끼고 거기에 주석을 다는 형식을 취한 것이 많다 영역닫기원리 1 간룡법 풍수지리에 내포되어 있는 모든 원리는 산에 가시적으로 나타나는데 용(龍)은 바로 산을 지칭한다 그리고 용맥의 좋고 나쁨을 조산(祖山)으로부터 혈장(穴場)에 이르기까지 살피는 방법을 간룡법이라 한다 용 속에는 감추어진 산의 정기, 즉 지기가 유행하는 맥이 있어서 간룡할 때에는 용을 체(體)로, 맥을 용(用)으로 하여 찾는다 맥이란 사람의 몸에서 혈(血)의 이치가 나누어져 겉으로 흐르는 것과 같이 땅 속의 용의 생기가 그 이치를 나누어 지표면 부근에서 흐르는 것이며, 사람이 맥을 보아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것처럼 용의 맥도 그 형체를 보아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다 2 장풍법 명당에 자리잡은 혈장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풍수지리에서 명당 주위의 지형·지세를 어떻게 파악하는가 하는 문제는 풍수지리의 이해에 중요한 대목이 된다 장풍법이란 명당 주위의 지세에 관한 풍수이론의 통칭이다 정혈(定穴)은 결국 장풍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니만큼, 실제로 도읍이나 음택(陰宅) 또는 주택을 상지(相地)함에 있어 장풍법은 요체가 된다 장풍은 ‘좌청룡 우백호 전주작 후현무(左靑龍右白虎前朱雀後玄武)’라 하여 혈이 남향인 경우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의 네 가지 산, 즉 사신사(四神砂)에서 대종을 이룬다 현무는 주산(主山)으로 국면의 기준이 되는데, 주산은 혈장 뒤에 두어 절(節) 정도 떨어져 솟아 있는 높고 큰 산이다 주작은 안산(案山)과 조산(朝山)으로 나누어지는데, 조산은 혈 앞에 있는 크고 높은 산이며, 안산은 주산과 조산 사이에 있는 나지막한 산으로 주인과 나그네가 마주하고 있는 책상과 같다는 의미이다 현무와 주작의 관계는 주인과 나그네, 남편과 아내, 임금과 신하 사이로 인식된다 청룡과 백호는 각각 동과 서에서 주산과 조산을 옹호, 호위하는 자세를 취하는 산이다 3 득수법 중국의 풍수지리에서는 산보다도 오히려 물길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여 많은 풍수서가 득수법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이것은 풍수지리설이 흥성하였던 중국 북부지방의 적은 강수량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우리 나라 풍수지리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산·수를 음·양에 비기는 전통적 사고방식에 따라 득수법을 무시하였던 것은 결코 아니다 크게 보아 물은 반드시 길한 방위로부터 흘러들어와 흉한 방위로 나가야 한다 물에서 탁취가 나거나 흐리면 안 되고 혈전(穴前)에 공손히 절을 올리듯 유장하게 지나가야 한다 직급류하여 혈을 향하여 쏘는 듯 내지르는 것은 좋지 않다 이때 산은 산대로 물은 물대로 따로 있는 것처럼 보이면 불길한 것이며, 남녀상배(男女相配)하고 음양상보(陰陽相補)하는 원리에 따라 산수가 상생하여야 좋은 것이다 돈 돈이란 각 경제 주체의 거래 능력을 숫자로 나타낸 추상적인 개념이다 돈을 통해 의식주와 관련된 제품의 거래가 이루어진다 경제 주체간의 거래가 오가면 숫자로 이루어진 돈의 교환과 증감이 이루어진다 돈은 법처럼 존재는 하되 볼 수도 만질 수 없는 것이다 당장 지갑에서 돈을 꺼내서 보고 만질 수 있지만 그것은 돈 그 자체가 아니며 '돈'이라는 보이지 않는(추상적인) 가치에 대한 증서일 뿐이다 법률 서적이 법 그 자체가 아니듯이, 돈을 굳이 정의하면 물건을 효율적으로 구매하고 판매하기 위해 사회가 약속해 숫자로 정량화 한 가치다 화폐는 그 가치를 인쇄해서 물리적으로 표현한 증서에 불과하다 돈이라는 개념이 생긴 덕분에 재력을 잠시 빌리는 대출이라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한 빌린 것을 다시 갚으리라는 믿음의 개념인 신용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개념들이 생기면서 경제 활동은 단순한 물품 거래 차원을 넘어 은행으로 대표되는 금융 세계로 확장되었다 화폐는 증권의 일종이다 즉 돈의 범위를 오름차순으로 보면 돈⊃증권⊃화폐 순서이다 화폐와 돈에 대해서 조금 다르게 알아야 할 필요성도 있다 보통 돈 하면 화폐를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화폐는 정확히 말해서 돈이라는 실물로 존재하지 않는 가치를, 인쇄물을 만들어서 증명하는 증서라고 할 수 있다 일정 금액을 소지하고 있다 증명할 수 있는 수단이고, 즉 이 화폐를 소지하고 있다는 뜻은 화폐라는 증서가 표하는 액수만큼의 거래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즉 우리가 좋아하는 것은 "계좌에 찍힌 숫자나 오만원권 지폐 종이 자체"가 아니라, 그것들이 가진 교환 가치 때문에 돈이란 것이 의미가 있는것이다 그게 있어야 돈이란 것으로 밥도 사고 할테니 예를 들면, 충분한 신용과 재력이 있는 사람(국가, 정부)이 길거리에 흔한 돌멩이(종이조각)에 1000이라는 숫자를 적어서 "이 돌은 1000만큼의 가치를 가진 돈이다"고 대중에게 공표하면 돌멩이에 1000만큼의 "교환 가치"가 생기고, 그 돌멩이(화폐)를 써서 가치 1000만큼의 밥을 사 먹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다가 500이나 10000이 적힌 돌도 나타나고, 아무나 돌멩이에 숫자를 적고 밥을 사는데 써버리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진짜 돌에는 서명 등을 넣어서(위조 방지 기술) 만드는 것이다 즉, 화폐는 이걸 가진 사람은 여기 적힌만큼의 가치에 해당하는 물건을 교환 할 권리가 있고 그 권리를 신용있는 주체가 보장함이 나타난 증서이다 돈은 금은보석과 달리 실물로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고 그저 통장이나 핸드폰, 종이조각에 찍히는 추상적인 숫자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돈이 실물을 구매할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돈을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 모두의 신용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