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참사 방지' 자치법규도 정비 착수(2022.11.06/뉴스데스크/MBC경남)
#10 29 #이태원 #자치법규 #지방자치 #도의회 #경남 #경상남도 ◀ANC▶ 헌법 34조엔 '국가가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주최자 없는 행사'라고 책임을 미룰 게 아니라 국가가 책임져야 함을 명확히 말해주고 있는 건데요 전국 지자체와 지방의회 곳곳에서 제도 정비에 나선 가운데 경남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박종웅 기자 ◀END▶ ◀VCR▶ ◀SYN▶김현기 / 서울시의회 의장(지난 1일) "서울시의회는 선진사례를 참고해서 '다중 운집 행사 경비 및 안전 확보에 관한 조례'를 제정토 록 추진하겠습니다" 서울시의회는 현행 '옥외행사 안전관리 조례'에 대한 개정을 추진합니다 (CG)자발적인 군중행사에도 시장이 안전관리에 나서도록 하는 조항을 신설하는 겁니다 서울시의회 뿐 아니라 이태원 참사 이후 제도 정비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CG)부산과 대전, 충남, 광주, 전남 등 지자체와 의회가 '다중운집 행사에 대한 안전관리 조례'를 제정 하는 등 자치법규 정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백여 건에 달하는 '안전' 자치법규가 있지만 이태원 참사 같은 걸 막을 조항이 없기는 경남도 마찬가지, 허동원 도의원은 자발적 집단행사에 대한 안전과 군중 밀집에 따른 안전관리 대책을 종합적으로 수립하도록 관련 조례 정비에 나섰습니다 ◀INT▶허동원 / 경남도의원 "행정이 미리 예방하고 점검해서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공공의 무한책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경남의 안전정책 발굴을 위해 지난해 출범한 경상남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지난 3일 이태원 참사 현장을 직접 찾은 것을 비롯해 사고원인 분석을 위한 국내외 자료 수집에 들어가는 등 경남에 맞는 안전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INT▶하경준/경상남도 재난안전연구센터장 "일본 사례와 비교가 많이 되는데요 일본 사례가 어떤 경험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보완해 나왔는지를 공부해서 " 지자체별 새해 예산과 안전관리 종합계획에 이같은 참사를 막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적극 반영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S/U) 제2의 이태원 참사를 막고 안전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국민과의 약속, 또다시 공허한 외침이 되어선 안되겠습니다 MBC NEWS 박종웅 ◀END▶ [ MBC경남 NEWS 구독하기 ] 구독하기: [ MBC경남 NEWS 제보하기 ] 시청자 여러분들의 제보를 받습니다 현장의 소리를 들으며 항상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보도하겠습니다 문자, 전화 제보 - 055 771 2580 / 055 250 5050 홈페이지 제보 - / 카카오톡 채팅 제보 - [ MBC경남 NEWS 웹사이트 ] 홈페이지 : 카카오톡: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