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브리핑] 결국 SM-3 도입키로…'한국형 미사일방어'vs '미 체제 편입'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한반도 브리핑] 결국 SM-3 도입키로…'한국형 미사일방어'vs '미 체제 편입'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한반도 브리핑] 결국 SM-3 도입키로…'한국형 미사일방어'vs '미 체제 편입' [출연 : 이치동 연합뉴스 기자] [앵커]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안보 이슈를 정리해 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한반도 브리핑'입니다 국제, 외교·안보 분야 담당하는 이치동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이번 주 주요 사안부터 소개해주실까요 요즘 날씨처럼 한중 관계에도 훈풍이 불면 좋겠습니다 오늘 다룰 내용 정리하고,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 [기자] 한국이 호주, 영국, 미국 세 나라 간 안보 협의체인 오커스의, 공식 파트너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첨단 무기 기술 분야, 협력을 위해섭니다 우리 군이 이지스함 탑재용, SM-3, 요격 미사일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비싼 돈을 주고 굳이, 살 필요가 있는지에 대한 논란은 가시지 않았습니다 조태열 외교장관이, 곧 중국을 방문해, 왕이 외교부장과 회담할 전망입니다 껄끄러운 양국 관계 개선의,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됩니다 [앵커] 한국과 호주의 장관급 외교 안보 대화가 오랜만에 열렸죠? [기자] 양측 외교, 국방 장관이 참여하는 투 플러스 투 회담인데요 2년 8개월 만에 처음 열렸습니다 통상 2년에 한 번 정도 개최돼서, 작년에 하려고 했는데, 호주 측 사정으로 연기됐습니다 이처럼 한국이 장관급 투 플러스 투 회담을 하는 나라는 현재로선 미국과 호주뿐입니다 한국과 호주가 안보는 미국과 밀착하지만, 경제 측면에선 중국과 떨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같은 처지기도 합니다 우리가 호주에 K-9 자주포에 이어 레드백이라는 보병 전투차량도 수출하기로 했는데요 그만큼 방산 분야 협력에서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번 회담도 호주의 수도 캔버라가 아니라, 자주포와 레드백 현지 생산 공장에서 가까운 멜버른에서 열렸습니다 [앵커] 이번 회담에선 요즘 핫한 안보 협력체죠 오커스에 대한 협의가 있었다고 하던데요 [기자] 호주, 영국, 미국의 영문명 이니셜을 따서 오커스라고 부르는데요 2021년에 생긴 안보 파트너십으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거라는 게 중론입니다 필러 원, 1군 멤버인 호주가 이 오커스를 통해 핵 추진 잠수함을 도입할 계획이어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여기서 필러는 기둥, 축이라는 뜻입니다 오커스가 한국을 인공 지능 등 기술 협력을 위한 필러 투, 2군 파트너로 고려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논의됐습니다 의미는 한국이 오커스와 군사 기술 협력, 협정을 고려한다, 체결 가능성이 높다는 걸 공식화했다는 데 있습니다 일례로, 일부 무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AI와 로봇 기술 표준화 플랫폼을 공유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물론 일정 수준의 의무와 제약이 부과되겠죠 또한, 중국을 자극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겠습니다 관련해서 구체적인 사항은 추후 협의를 좀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앵커] 이 오커스도 바이든 행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거미줄식 양자 소규모 다자 안보 협력의 일부인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먼저 최근 흐름을 좀 정리해보면요 윤 대통령이 작년 4월 워싱턴에서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 확장억제 강화에 합의합니다 넉 달 뒤에 캠프 데이비드 회담에서 본격적인 한미일 안보 협력에 합의했고, 11월엔 한국과 영국이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글로벌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격상합니다 외교 국방 장관 투 플러스 투 회담도 하기로 했고요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에서 일본과 오커스의 필러 투 협력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번 주 한국과 호주 회담에서도 이 사안이 다뤄진 거죠 어제 미국, 호주, 일본, 필리핀 국방장관이 하와이에 모이기도 했습니다 예전엔 미국을 중심축으로 동맹국을 자전거 바큇살 연결하듯 했는데요 이제는 지역별 거점국을 활용해서 양자, 소그룹 안보 협력을 확대하는, 일명 격자형 바둑판식,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동북아는 일본, 남태평양은 호주, 동남아는 필리핀이 거점인 셈입니다 [앵커] 이런 흐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