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4] 하드웨어만 초점…청년창업 제도 '삐걱'/HCN부산방송

[기획4] 하드웨어만 초점…청년창업 제도 '삐걱'/HCN부산방송

#청년창업 #부산청년 부산시는 일자리가 부족한 청년들에게 창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왔습니다 대표적으로 청년몰 정책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보여주기식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부산시는 지난 2018년, 전통시장 2곳에 청년몰을 열었습니다 당시 국비와 시비를 포함해 약 15억 원의 예산을 들여 국제시장에 609몰이 출범했지만, 이곳은 불과 1년 만에 12곳 모든 점포가 문을 닫았습니다 서면시장 내 청년몰 역시 중소기업청 공모에 선정돼 문을 열었지만, 지금은 17곳의 점포 중 2곳 만 운영 중입니다 대부분 점포를 청년몰 활성화에만 초점을 맞춘 채, 인테리어 비용이나 임대료 지원 등 가게 문을 여는 데에만 지원을 집중한 것이 주요한 패착이었습니다 [이상희 / 한국사회공헌협회 회장: "하드웨어적인 부분 건물을 어떻게 그럴듯하게 지어놓을지만 생각하고, 안에 채워진 소프트웨어적인 부분 콘텐츠를 강화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그 부분들을 개선하고 싶지만 반영되지 않습니다 전달이 되지 않고 그래서 폐쇄적이라고 하죠 그 런 부분이 있다 보니까 아예 꿈을 펼칠 수 없다고 생각을 하고 " 부산시는 지난 2010년부터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시 주도의 사업들은 창업을 처음 시작하려는 청년들에겐 상당히 높은 진입장벽이 형성됐습니다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데다 창업 경험도 없다 보니, 각종 서류를 채우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나현 / 한국사회공헌협회 이사: "사업계획서 같은 경우에도 보통 제출하고 심사를 보는 과정을 거쳐야 커뮤니티에 들어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요 그런 부분 같은 경우에도 사업계획서를 처음 자기 아이디어만 가지고 하려는 청년들에게는 엄청나게 진입장벽이 높다고 느껴질 수 있거든요 "] 가장 큰 문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청년 정책에 정작 청년의 의견과 목소리가 빠져 있다는 것입니다 예산 지원과 사업 추진에만 치중하다 보니, 엇박자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김형철 / 부산시의회 의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정책과 지방정부의 맞춤형 정책, 지역사회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작년 말 기준, 전국 청년몰의 724개 상점 중 영업을 하는 곳은 66%에 불과합니다 들인 예산은 약 600억 원입니다 청년몰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춘 콘텐츠 마련과 사후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HCN 뉴스, 최현광입니다 #동래구_연제구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