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 '신재민' 보도량 최고 매체는 중앙일보 / YTN](https://krtube.net/image/I3FPP0UxD68.webp)
[더뉴스] '신재민' 보도량 최고 매체는 중앙일보 / YTN
■ 진행 : 노종면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최은경 / 성공회대 신방과 교수, 이택광 / 경희대학교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최근 주요 사안에 대한 언론보도를 비교분석해 보고 보도량과 특징들이 정치적으로 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짚어보는 더비평 시간입니다 오늘은 적자 국채 발행 의혹을 제기한 뒤 논란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유서를 쓰고 잠적하기도 했던 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의 관련 보도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일단 보도량에서는 중앙일간지 가운데서는 중앙일보가 최고였더군요 분석을 맡아주신 최은경 성공회대 교수 그리고 보도의 맥락을 짚고 보도 비평을 해 주실 이택광 교수 모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최은경] 안녕하세요 [이택광] 반갑습니다 [앵커] 먼저 오늘 다룰 주제부터 보겠습니다 신재민 폭로 언론 보도가 어땠는지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주제는 우리 최은경 성공회대 교수께서 정해주셨습니다 어떤 분석 키워드를 사용해서 분석을 했는지 알아보죠 [최은경] 분석 키워드는 총 한 4개 정도로 선택을 했고요 첫 번째 신재민 국채발행 그다음에 손혜원 국회의원 이름과 그다음에 공익 제보자 총 4개의 키워드로 신문의 경우는 분석 기간이 일주일, 즉 1월 2일부터 8일 화요일까지 해서 총 5대 일간지와 지상파 3사 그리고 종편 4사, YTN까지 해서 13개 언론사를 분석했습니다 [앵커] 다시 한 번 보겠습니다 일단 분석 키워드로 네 가지 꼽아주셨습니다 신재민 국채발행, 손혜원 공익제보자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 [앵커] 그래프를 한번 보죠 [앵커] 이게 어떤 방식을 통해서 분석이 된 거죠? [최은경] 분석 방식의 경우 종합 일간지의 경우에는 언론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빅카인즈라고 하는 곳에서 검색 키워드를 넣으면 해당 기간 동안에 해당 언론사들이 몇 개의 언론을 보도했는지에 대한 총량이 검색이 가능하거든요 그래서 공신력 있는 검색기관의 검색툴을 이용을 했고요 하지만 방송사의 경우는 이따도 말씀드리겠지만 좀 다른 방법으로 아무래도 검색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앵커]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검색을 잘 안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키워드에 손혜원 의원 이름이 들어 있어요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최은경] 아무래도 사건의 일지를 보게 되면 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이 폭로했던 1차와 2차 그리고 저희가 분석기간으로 잡았던 지난 한 주의 기간 동안 안에서 손혜원 의원이 폭로했던 기간들이 아무래도 가장 많은 보도량과 그리고 그에 관련했던 내용들이 이슈가 있었는데요 물론 신재민 폭로 이후에 가지고 있는 언론사에 대한 논조나 방향들은 1월 3일과 4일에 집중적으로 몰아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손혜원 의원이 페이스북에 본인의 의사를 이 사건에 대한 의견으로 올리면서는 공분을 좀 사기에 충분했고요 그런 흐름들이 보이긴 했습니다 [앵커] 신문의 경우 신재민 폭로와 관련된 보도의 보도량이 어쨌든지 보고 진행을 하죠 [최은경] 신문의 경우에는 신재민 폭로의 보도량에 있어서 가장 먼저 중앙일보가 한 100여 건 정도로 가장 많은 보도를 한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앵커] 일주일 동안 102건이네요? [최은경] 이 경우도 사실은 거론이 됐던 사건에 대한 키워드로서 청와대나 문재인 대통령이나 혹은 KT&G라고 하는 다른 키워드도 굉장히 유의미했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좀 더 축소를 시켜서 좀 더 정확한 관련 기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