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개발 광풍 몰아친 평택...'강제수용 잔혹사' / 강제수용 토지 여의도 면적 20배 훌쩍...여전히 진행 중
[앵커] 최근 평택지제역세권 개발사업을 놓고 주민 반발이 커가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 '강제수용'이란 일방적인 도시개발 방식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데, 평택지역에서만 여의도 면적의 20배가 넘는 토지가 강제수용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손세준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LNG기지와 해군2함대 등 굵직한 국가보안시설이 위치한 평택시 강제수용 역사는 지난 1994년 정부가 아산만권개발계획의 하나로 평택군에 20만명 규모 배후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히면서 본격화됐습니다 이 계획은 평택 도심지 개발로 이어졌고, 현재는 주한미군 이전에 따른 각종 지원을 기반으로 도시 전체로 확산했습니다 그렇다면 강제수용 된 토지 규모는 얼마나 될까? OBC더원방송은 평택항 소재 주요 국가시설과 주한미군기지, 고덕국제도시와 브레인시티를 포함한 주요 산단 등 비교적 규모 있는 사업부지의 수용 면적을 계산해봤습니다 지금까지 강제수용된 토지는 최소 5천800여만 제곱미터 시 전체 면적의 15%에 달합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20배가 넘는 규모입니다 이렇다보니 수용 과정은 순탄치 않았고, 결과마저도 '처참한 성적표'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1997년 안중과 청북 등 서부지역에 신도시 개발계획이 발표됐지만 IMF 경제위기로 평택항과 포승공단 개발이 늦어지면서 사업이 중단되거나 축소됐고, 2000년대 주한미군 이전을 놓고는 팽성지역 주민들의 갈등을 촉발하기도 했습니다 40년 넘게 표류 중인 평택호관광단지와 현덕지구 등은 아직도 추진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여기에다 일단 지구지정이 되면 개발행위가 제한돼 재산권 침해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브레인시티 조성사업은 지난 2014년 사업이 무산되면서 일부 지주의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우려하는 상황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브레인시티 사업부지 내에 있는 한 레미콘 공장은 강제집행 예고로 700여명의 관계자들이 도움을 호소하고 있고, 지제역세권 개발사업은 시작부터 주민반발에 휩싸였습니다 [인터뷰 / 차화열 평택지제도시개발추진위원장] “아니 우리 땅이 시나 정부의 공유 재산입니까? 우리 재산권을 평택시 맘대로 묶어 놓더니 이젠 정부가 강제 수용한다는 건데 애당초 평택시가 개발행위제한을 고시하면서 우리 주민들의 의견은 묵살된 겁니다 미군기지 이전한다고, 성균관대 유치한다고 천만평 이상 강제수용하고, 항만배후단지다 경제자유구역이다 묶어놓고 십수년째 방치해놓고… ” 이들 사업의 공통점은 모두 '강제수용' 방식의 도시개발 밀어붙이기식 개발정책의 씁쓸한 현주소입니다 OBC더원방송 손세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