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서부전선전투 7편, 축석령 전투, 의정부 함락, 백석천 전투, 포병학교 2교도대대, 북한군 3사단 VS 국군 2사단

중서부전선전투 7편, 축석령 전투, 의정부 함락, 백석천 전투, 포병학교 2교도대대, 북한군 3사단 VS 국군 2사단

국군 2사단장 이형근 준장은 6월 26일 새벽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역습명령을 받고 나서 사단 지휘소가 위치한 금오리로 돌아와 사단 주력 부대의 이동상황을 점검하면서 대책을 수립하고 있었습니다 2사단 예하 부대들은 금오리에 먼저 도착한 5연대 2대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서울을 향해 북상 중이었습니다 이때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으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은 5연대 2대대장 차갑준 소령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문의하자, 이형근 준장은 “총참모장 명령대로 이행하라 축석령에 가면 3연대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니 협조하라”라는 지시를 내립니다 그러나 3연대는 이미 축석령에서 패배한 후 철수하여 2사단 사령부가 있는 금오리 남쪽에 집결하고 있었습니다 국군 2사단의 선봉이 된 5연대 2대대는 이러한 상황을 전혀 모른 채, 6월 26일 오전 3시 금오리를 출발하여 축석령을 향해 이동했습니다 2대대는 대전차 공격임무를 수행할만한 아무런 화기도 갖추지 못한 상태로, 중화기 실탄이나 수류탄은 단 한 발도 없었고 소총 실탄도 1인당 M-1 실탄 8발~16발과 카빈 실탄 15발~30발 정도씩 휴대하고 있었습니다 중대장은 물론 대대장조차 작전지도가 없었고, 통신수단도 전혀 갖추지 못해 연락수단이라고는 전령뿐이었습니다 사전정찰도 없이 적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축석령으로 북진하던 2대대의 선두가 본자일 북쪽 300m 지점에 이르렀을 때 북한군 전차가 고개를 넘어오고 있었습니다 불시에 북한군 전차와 조우하게 된 2대대장 차갑준 소령은 병력을 208고지 부근으로 이동시켜 방어태세로 전환하면서 사단에 연락장교를 급파하여 상황보고와 함께 증원을 요청했습니다 날이 밝아오면서 대대 진지가 노출되자 북한군 전차가 고개 마루에서 전차포와 기관총으로 집중공격을 가해왔습니다 2대대는 소총으로 응수하면서 30분간 교전했으나, 북한군의 압도적인 화력 앞에 방어선이 무너지고 북한군은 다시 자일동 쪽으로 남진하기 시작했습니다 6 25전쟁에 대한 많은 영상이 있지만, 기초적인 사실조차 확인하지 않은 영상들이 너무 많습니다 심지어 공영방송의 다큐멘터리도 조차도 사실과 다른 부분을 이야기하는 형편입니다 6 25전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참전했던 국군과 미군의 회고록, 미국 논픽션 전쟁사 작가의 간행물, 중공군 참전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교차 검증하여 가장 정확한 6 25전쟁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6 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시작되어 3년 1개월 2일 만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 민족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상처를 남긴 채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정지된 비극적 전쟁입니다 자유진영 전사자는 한국군 149,005명, 미국을 포함한 유엔군 40,306명 등 189,311이 희생되었습니다 공산 진영은 북한 294,000명, 중공 197,653명, 소련 315명 등 491,968명이 전사했습니다 6 25전쟁으로 인해 민간인을 포함하여 5,991,484명이 희생되었습니다 5,991,484명의 희생자 중 5,218,480명이 한국인입니다 한국인 인명 피해로만 본다면 고구려-수나라 전쟁, 고려-몽골 전쟁,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모든 대외전쟁을 합친 것 보다 많습니다 불과 70여 년 전 한반도를 피로 물들인 6 25전쟁은 반만년 한민족 역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최대 규모의 전쟁이었습니다 [참고자료] 6 25전쟁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 25전쟁 주요전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 25전쟁영웅(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중국군의 한국전쟁사(국방부, 군산편찬연구소), 낙동강(류형석, 플래닛미디어), 6 25전쟁 징비록(백선엽, 책밭), 기갑전으로 본 한국전쟁(권주혁, 지식산업사), 6 25전쟁과중공군(박실, 정미디어), 6 25전쟁(존 톨랜드, 바음), 콜디스트 윈터(데이비드 헬버스템, 살림), 이런전쟁(T R 페렌바크, 플래닛미디어), 중국군의 한국전쟁사(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한국전쟁(왕수쩡, 글항아리), 중국이 본 한국전쟁(홍학지, 한국학술정보), 항미원조(리펑, 다른생각) [영상 출처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