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사 04, 중서부전선전투, 남침의 주공 부대인 북한군 3사단과 4사단, 105전차여단에 맞선 예비대도 없는 국군 7사단

6.25전쟁사 04, 중서부전선전투, 남침의 주공 부대인 북한군 3사단과 4사단, 105전차여단에 맞선 예비대도 없는 국군 7사단

중서부전선 전투는 유재흥 준장이 지휘하는 국군 7사단, 이형근 준장의 국군 2사단, 의정부지구전투사령부와 북한군 3사단과 4사단, 105전차여단이 북한군의 기습남침이 시작된 1950년 6월 25일 새벽부터 6월 27일까지 3일 동안 벌인 공방전입니다 육군본부는 중서부전선 방어를 위해 수도경비사령부, 국군 2사단, 육군사관학교 생도대대, 포병학교 교도대대, 경찰대대 등을 축차적으로 증원하여 총력전을 펼쳤지만, 전투력 열세로 개전 2일 만인 6월 26일 의정부가 함락되고, 6월 27일부터는 서울 방어를 위한 최후저항선인 창동과 미아리 일대에서 전투를 벌이게 됩니다 중서부전선 전투는 38선 경계진지 전투, 동막동-동두천 전투, 만세교-포천 전투, 송우리-축석령-금오리 전투, 백석천-내촌 전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중서부전선 전투는 크게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1단계는 38선 경계진지 전초전으로부터 주저항선 전투가 전개되는 6월 25일의 상황으로 3번 도로상의 동두천과 43번 도로상의 포천이 북한군에 함락되는 단계입니다 제2단계는 6월 26일 상황으로 북한군 3사단과 4사단이 포천과 동두천을 점령한 후 의정부 북쪽 3km~4km 지점에 설정된 1일차 진출목표에 도달했을 때, 수도 서울 방어에 위협을 느낀 육군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이 국군 7사단 1연대 및 수도경비사령부 18연대와 국군 2사단을 동두천, 포천 축선에 투입하여 동두천과 포천 탈환을 목적으로 역습을 시도했다 실패하고, 의정부가 점령당하는 단계입니다 제3단계는 6월 26일 오후 서울 북쪽 18km 거리의 의정부가 북한군에게 피탈되면서, 국군 7사단과 2사단, 수도경비사령부 예하부대 및 증원부대들이 수도 서울을 방어하기 위해 창동, 미아리, 태릉 지역에 급편방어진지를 형성하는 단계입니다 6 25전쟁에 대한 많은 영상이 있지만, 기초적인 사실 조차 확인하지 않은 영상들이 너무 많습니다 심지어 공영방송의 다큐멘터리도 조차도 사실과 다른 부분을 이야기하는 형편입니다 6 25전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참전했던 국군과 미군의 회고록, 미국 논픽션 전쟁사 작가의 간행물, 중공군 참전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교차 검증하여 가장 정확한 6 25전쟁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6 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시작되어 3년 1개월 2일 만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 민족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상처를 남긴 채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정지된 비극적 전쟁입니다 자유진영 전사자는 한국군 149,005명, 미국을 포함한 유엔군 40,306명 등 189,311이 희생되었습니다 공산진영은 북한 294,000명, 중공 197,653명, 소련 315명 등 491,968명이 전사했습니다 6 25전쟁으로 인해 민간인을 포함하여 5,991,484명이 희생되었습니다 5,991,484명의 희생자 중 5,218,480명이 한국인입니다 한국인 인명 피해로만 본다면 고구려-수나라 전쟁, 고려-몽골 전쟁,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모든 대외전쟁을 합친 것 보다 많습니다 불과 70여 년 전 한반도를 피로 물들인 6 25전쟁은 반만년 한민족 역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최대 규모의 전쟁이었습니다 [참고자료] 6 25전쟁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 25전쟁 주요전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 25전쟁영웅(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중국군의 한국전쟁사(국방부, 군산편찬연구소), 낙동강(류형석, 플래닛미디어), 6 25전쟁 징비록(백선엽, 책밭), 기갑전으로 본 한국전쟁(권주혁, 지식산업사), 6 25전쟁과중공군(박실, 정미디어), 6 25전쟁(존 톨랜드, 바음), 콜디스트 윈터(데이비드 헬버스템, 살림), 이런전쟁(T R 페렌바크, 플래닛미디어), 중국군의 한국전쟁사(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한국전쟁(왕수쩡, 글항아리), 중국이 본 한국전쟁(홍학지, 한국학술정보), 항미원조(리펑, 다른생각) [영상 출처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