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선불교특강)/ 제25강 무상 참회의 법문/ 성본스님
육조단경(선불교특강)/ 제25강 무상 참회의 법문/ 성본스님 육조단경 제25강 無相 懺悔의 법문 원력 =위 없는 불도를 이루기를 서원함 無上佛道誓願成은 常下心行하야 恭敬一切하야 遠離迷執하야 覺知生般若하야 除却迷妄이니 即自悟佛道成하야 行誓願力이니라 위없는 불도를 맹세코 이룬다 함은 항상 마음을 낮추는 행동(下心行)으로 일체를 공경하며 미혹한 집착을 멀리 여의고, 깨달아 반야가 생겨 미망함을 없애는 것이다 곧 스스로 깨쳐 불도를 이루어 맹세코 바라는 힘(誓願力)을 행하는 것이니라 “ 佛道 = 불법대의 =반야지혜 구족 ⇒ 자비실행(보살도) ⌜법화경⌟제6권 ⌜常不輕菩薩品⌟ 이 비구는 눈에 보이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우바이를 모두 공경 예배하고 찬탄하여 말하기를 ‘나는 당신들을 깊이 공경하고 가벼이 여기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당신들은 모두 보살도를 행하여 반드시 성불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하였다 또 사람들이 막대기나 기와, 돌멩이로 때리면 멀리 피해 달아나면서 오히려 큰 소리로 외치기를 ‘나는 당신들을 경만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대들은 모두 다 성불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하였다 법화경 약왕보살본사품 ‘소신공양’ = 我相, 人相을 텅 비움 不惜身命(불석신명)= 몸이나 목숨을 아기지않고 수행, 교화, 보시하는일 無相懺悔 今既發四弘誓願訖하니 與善知識으로 無相懺悔하야 [滅]三世罪障케하리라 大師言하되 善知識아 前念後念及今念이 [念]念不被愚迷染하야 從前惡行을 一時[永斷]하야 自姓에 若除하면 即是懺悔요 前念後念及今念이 念念[不]被愚癡染하야 除却從前矯誑心하라 永斷名爲自性懺이요 前念後念及[念念]이 念念不被妬(疸疾)染하야 除却從前疾妬(垢)心하라 自性에 若除하면 即是懺이니라 已上三唱 善知識아 何名懺悔오 [懺]者는 終身不作이요 悔者는 知於前非니 惡業을 恒不離心하면 諸佛前에 口説無益이라 我此法門中엔 永斷不作이 名爲懺悔니라 "지금 이미 사홍서원 세우기를 마쳤으니 선지식들에게 '무상참회(無相懺悔)'를 주어서 삼세(三世)의 죄장(罪障)을 없애게 하리라 "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우치와 미혹에 물들지 않고, 지난날의 나쁜 행동을 일시에 영원히 끊어서 자기의 성품에서 없애 버리면 이것이 곧 참회(懺悔)니라 과거의 생각과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어리석음에 물들지 않고 지난 날의 거짓과 속이는 마음을 없애도록 하라 영원히 끊음을 이름하여 자성의 참회(自性懺)라고 한다 과거의 생각, 미래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이 생각마다 질투에 물들지 않아서 지난날의 질투하는 마음도 없애도록 하라 자기의 성품에서 만약 없애 버리면 이것이 곧 참회이니라 " "선지식들아, 무엇을 이름하여 참회(懺悔)라고 하는가? 참(懺)이라고 하는 것은 종신토록 잘못을 짓지 않는 것이요, 회(悔)라고 하는 것은 과거의 잘못을 아는 것이다 나쁜 죄업을 항상 마음에서 버리지 않으면 모든 부처님 앞에서 입으로 말하여도 이익이 없느니라 나의 이 법문 가운데는 영원히 끊어서 짓지 않음을 이름하여 참회라 하느니라 “ 理懺 = 佛法大意 (반야지혜, 戒體) 事懺 = 구체적인 행위(지금,여기,내가⇒일(지혜실천) ⌜無住화상-역대법보기⌟ ‘만약 참회하고자 한다면 단정히 앉아 實相을 念하라 無念이 즉 실상이다 ’ ‘有念은 즉 虛妄이니 참회하고 주문으로 축원하는 것은 허망인 것이다 ’ 이조 혜가 ⇐ 3조 승찬의 참회 (죄의 실체) 경인스님 편집 - 불교인터넷방송 기원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