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론236조. 양명병으로 습과 열이 내부에 뭉치면 황달이 된다. 인진호탕으로 치료한다.  밴쿠버 달빛한의원. 김동영 한의학 광장.

상한론236조. 양명병으로 습과 열이 내부에 뭉치면 황달이 된다. 인진호탕으로 치료한다. 밴쿠버 달빛한의원. 김동영 한의학 광장.

양명병으로 열이 나고 땀을 흘리면 황달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땀도 없고 소변도 안 나오고 목이 타 물만 마시면 내부에 습과 열이 뭉쳐서 황달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茵蔯蒿湯으로 치료한다 [236] 陽明病, 發熱, 汗出者, 此爲熱越, 不能發黃也 但頭汗出, 身無汗, 劑頸而還, 小便不利, 渴引水漿者,此爲瘀熱在裏, 身必發黃, 茵蔯蒿湯主之 양명병에 걸린 환자가 열이 나고 땀을 흘리는 것은 열이 체표로 넘처 나오는 현상으로 이렇게 열이 밖으로 빠져 나오면 황달이 발생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렇지만 단지 머리에서만 땀이 나서 목까지만 나고 그외 몸통과 사지에서는 전혀 땀이 나지 않고, 소변이 잘 안 나오고, 목이 타서 물을 계속 마신다면, 이는 안에서 열이 뭉쳐 있는 것으로 반드시 황달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면 인진호탕으로 치료한다 양명병의 특징은 열이 찌는듯이 나는 것으로 당연히 진액을 압박해 땀이 많이 나는 것이다 이렇게 땀을 흘리면 수액도 배출되고 열도 배출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머리와 얼굴 그리고 목에서만 땀이 나고 그외 전신의 어느 곳에서도 땀이 나지 않고, 목이 말라 물은 계속 마시는데 도리어 소변을 보지 못하니 안에 수액이 차 있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습과 열이 양명에 뭉쳐 있으니 황달이 발생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황달은 습사가 그 중심 요인으로 양황과 음황으로 나눌 수 있으며 양황은 습과 열이 뭉친 것이고 음황은 습과 한이 뭉친 것이다 또한 양황에는 습이 열보다 중한 경우와 열이 습보다 중한 경우 또는 동등하게 중한 경우 등 그 상황에 맞추어 변증 치료하면 되는 것이다 성무기 但头汗出,身无汗,剂颈而还者,热不得越也;小便不利,渴引水浆者,热甚于胃,津液内竭也;胃为土而色黄,胃为热蒸,则色夺于外,必发黄也。与茵陈汤,逐热退黄。 茵陈蒿汤方 茵陈蒿六两 栀子十四枚(擘) 大黄二两(去皮) 上三味, 以水一斗二升, 先煮茵陈, 减六升, 内二味, 煮取三升, 去滓 分三服 小便當利, 尿如皂莢汁状, 色正赤, 一宿腹减, 黄从小便去也 성무기 小热之气,凉以和之;大热之气,寒以取之。茵陈、栀子之苦寒,以逐胃燥;宜下必以苦,宜补必以酸。大黄之苦寒,以下瘀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