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회의...우리 산업계 쟁점은? / YTN

기후변화 회의...우리 산업계 쟁점은? / YTN

[앵커] 2020년 이후의 신 기후체제를 논의하는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있죠 지구를 살린다는 공동의 목표 아래 각국의 이해관계를 건 물밑 협상이 치열하고, 총회 결과에 따라 우리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습니다 관련 쟁점은 무엇인지, 박홍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현재 우리나라가 제시한 목표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7% 감축입니다 계획대로라면 배출권 거래제에 참여하는 기업 500여 곳은 감축 비용으로 연평균 15억 원씩, 제철·정유·발전사 등 배출량 상위 10개 기업은 연간 4천8백억 원을 부담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감축 목표의 26%는 국내에서 감축하고 나머지 11%는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다른 나라에 온실가스 감축시설이나 숲을 만들어 주고 그 감축분만큼 배출권을 사오겠다는 건데, 이런 방식에 반대하는 나라도 있어서 실현 가능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1997년 교토 의정서 체결 당시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의 지위였습니다 그러나 국민 1인당 소득 2만 8천 달러,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7위인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김현진,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경제적 위상과 달라진 감축 역량으로 인해서 지금의 우리의 지위에 걸맞은 수준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국제사회가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 선진국으로 인정되면 감축 의무가 더 많아지는 것은 물론이고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천억 달러 규모의 재원 조성에도 참여해야 합니다 이렇게 신 기후체제가 국내 산업과 경제에 부담을 줄 것이란 우려 속에 한편으론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기대도 있습니다 신재생 에너지와 환경친화적 기술 개발 등 약 1,800조 원 규모의 시장이 탄생하게 됩니다 특히 재생에너지 비중이 1%에 불과해 OECD 최하위권인 우리나라는 이번 기회에 굴뚝 산업 위주의 산업 구조를 서둘러 재편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YTN 박홍구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